code:068h
device:
close_button

檢 '해외공작금 20억 유용' 혐의 원세훈 자택 압수수색

윤여진 기자I 2018.01.19 14:28:44

19일 원 전 원장과 전직 국정원 관계자 거주지 압수수색
퇴직 전 미국 유학자금 마련 위해 200만 달러 유용한 혐의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으로 기소된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지난해 8월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서울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열린 파기환송심 선고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윤여진 기자] 청와대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상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원세훈(67) 전 국정원장의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이 지난 17일 ‘MB 집사’로 불린 김백준(78)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을 4억원 가량의 국정원 특활비를 수수한 혐의로 구속한 후 이틀 만에 다시 강제수사에 나섰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송경호)는 19일 국정원 특활비 유용과 관련 원 전 원장과 전직 국정원 관계자들의 주거지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원 전 원장은 국정원 재직 중이던 지난 2011년 말 ~ 2012년 초 국정원 해외공작금 200만 달러(약 21억원)를 유용해 자신이 유학 가려던 미국 스탠퍼드대에 보낸 혐의를 받는다. 원 전 원장은 서울시 행정1부시장을 마친 직후인 2006년 9월부터 1년 동안 아시아태평양연구소의 초빙연구원으로 지내다 이듬해 이명박 당시 대통령 대선 특보로 자리를 옮긴 바 있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29일 자금의 중간 세탁 장소인 국정원 산하기관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과 원 전 원장이 수감 중인 서울구치소 수용실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안보전략연구원 회계장부에서 국정원 해외공작금이 스탠퍼드대 연구센터에 흘러간 정황을 포착,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은 원 전 원장이 2013년 퇴임 후 스탠퍼드대에 객원연구원으로 가려는 계획에 앞서 기부 형식으로 국정원 자금을 가로챈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원 전 원장이 퇴임 후 곧바로 국정원 댓글 수사를 받는 중 출국금지돼 그의 미국행은 무산됐다. 국정원 자금은 스탠퍼드대 연구센터 계좌에 그대로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원 전 원장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은 김 전 기획관의 특활비 수수 혐의와는 관련이 없다”면서 “원 전 원장이 유용한 특활비 용처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