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환자 이송·전원 문제 25년째 반복…원인은

이지현 기자I 2023.04.19 13:42:44

대한뇌졸중학회 기자회견, 119 소통 이송체계必
저수가 상황 수년째 지속…전문인력 부족 심화
필수의료 지원 대책 등 발전방안 모색해야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뇌졸중은 적기에 치료를 받으면 환자가 건강한 삶을 회복할 수 있는 질환임에도 구내에선 아직까지 생명 유지를 위한 적기의 치료마저 받지 못하는 사례가 응급의료기본계획이 수립된 이후 25년째 반복되고 있다.”

19일 웨스틴조선호텔 서울에서 개최된 대한뇌졸중학회의 ‘응급의료 기본계획 및 필수의료 지원 대책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기자간담회에서 홍보이사를 맡고 있는 김태정 서울의대 신경과 교수는 이같이 지적했다.

대한뇌졸중학회에서 홍보이사를 맡고 있는 김태정 서울의대 신경과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뇌졸중은 국내 사망원인 4위의 질환이다.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 조직이 손상되는 것으로 연간 1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한다.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관련 환자는 더 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뇌졸중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골든타임 내 치료다. 이 시간은 3시간 이내로 알려졌다. 하지만, 뇌졸중 환자 중 3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는 경우는 36% 정도에 그친다는 게 뇌졸중학회의 분석이다. 병원 방문이 늦어지는 가장 큰 이유로는 평소 뇌졸중 증상을 잘 몰라 이상 증상이 발생했는데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점이 꼽히지만, 필수 중증 환자의 이송·전원과 관련된 국가 응급의료체계에도 문제가 크다는 게 학회의 주장이다.

김태정 교수는 “국내 응급의료체계가 전문 진료과와 연계되지 않아 치료받지 못하는 사태가 반복되면서 119에서 치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해 사망하는 환자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119에서 치료를 하는 전문 진료과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체계와 치료 전체 과정을 관리하는 관제 센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병원전단계위원장을 맡은 김성헌 강원의대 신경과 교수는 “권역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해 여러 응급의료센터가 병실과 의료진 부족 문제로 24시간 치료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 어려운 상황에서 경증 환자로 넘치는 응급의료센터의 응급실에서 중증 환자의 진료가 사실상 불가능함에도 정부가 내놓는 대책은 근본적인 해결책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관련해 학회는 응급의료이송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119구급대와 전문 진료과 연계 시스템과 치료 전체 과정을 관리하고, 환자의 최종 이송을 책임질 수 있는 관제센터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배희준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은 “한정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경증 환자와 중증 환자 진료를 분리해서 중증응급의료센터는 필수 중증 환자의 최종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체계가 정립돼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응급신경학 전문의 기반의 1차 진단 및 원스탑(One-stop) 진단 치료가 가능해야 하고,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환자의 진단, 이송, 치료관리를 콘트롤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모든 병원에서 24시간 치료가 어렵기때문에 현재 84개뿐인 뇌졸중센터와 권역센터를 확충하고 최종진료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전체 뇌졸중 안전망을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는 관제센터인 중앙심뇌혈관센터 지정과 운영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센터는 환자의 급성기 치료부터 집중치료실 치료, 시술, 수술, 중환자 치료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의 전문 치료가 가능한 곳을 의미한다.

대한뇌졸중학회 김성헌(좌측부터) 병원전단계위원장과 이경복 정책이사, 배희준 이사장, 차재관 질향상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이날 차재관 동아의대 신경과 교수는 “나아가 가까운 미래에 전문인력 부족으로 현재의 뇌졸중 진료 체계를 운영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올해 신경과전문의 시험합격자 83명 중 5명만 뇌졸중 전임의로 지원을 했다.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개 중 1개 센터에만 전임의가 근무하고 있고, 전공의 없이 교수가 당직을 서는 대학병원이나 수련병원이 늘고 있다. 차 교수는 “지금의 추세라면 5~10년 후 연간 10만 명의 뇌졸중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뇌졸중 전문의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학회는 뇌졸증 치료 전문인력 부족 원인으로 낮은 수가를 꼽았다. 실제로 종합병원 뇌졸중 집중치료실 입원료는 13만3320원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실료 6인실 일반과의 17만1360원 보다 낮다. 심지어 응급의료센터에는 전문의 진찰료, 관찰료 등이 수가로 산정되는데 신경과 전문의가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하면 진찰료도 발생하지 않는다. 24시간 뇌졸중집중치료실에서 뇌졸중 환자를 진료해도 근무 수가가 2만7730원 수준밖에 되지 않아 병원에서는 사실상 뇌졸중 센터를 무리하면서까지 투자하고 운영해야 하는 이유가 없는 상황이다.

이경복 순천향의대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에 대한 수가 개선 및 신설이 필요하고, 뇌졸중 집중치료실 수가가 간호간병통합 병실료보다 최소 1.5배 이상 상향 조정돼 필수 중증 분야가 젊은 의사들이 지원하고 싶은 분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희준 이사장은 “현재 시술이나 수술을 하지 않는 뇌졸중의 경우 일반질병군으로 되어 있어 전문진료질병군 환자를 30% 이상 유지해야 하는 상급종합병원에서는 뇌졸중 환자 진료를 거부하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다”며 “성인 장애 주요 원인인 뇌졸중은 전문진료질병군으로 분류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배 이사장은 “뇌경색은 발생하더라도 치료만 잘하면 장애 없이 생활 할 수 있는 질병”이라며 “뇌졸중 치료의 목표를 생명연장뿐 아니라 후유장애를 최소화하는 정책도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