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이상기후와 노동력 감소에 따른 농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농업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아직 품목별 전문화된 생산단지와 이를 뒷받침할 전문기업 및 기술인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스마트농업이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2029년까지 현재 16% 수준인 전국 온실 스마트팜 전환 비율을 35%로 끌어올린다. 전국 온실 규모는 약 5만 5000ha다. 또 기계화가 진행 중인 주요 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의 20%에 스마트농업기술 한 개 이상을 적용하기로 했다. 스마트 농산업 선도기업을 오는 2029년까지 120곳 육성하고 스마트팜 수출을 같은 기간 9억달러(약 1조3000억원)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스마트 농업과 연관 산업이 집적화된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올해 전국 4개 시·군에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를 청년 장기 임대형 스마트팜과 연계해 조성한다. 이상기후에 대응해 밭농업 기계화 추진 8개 작물과 5대 과수 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사용하기 쉽고 효과성이 높은 스마트농업 솔루션을 보급하고 교육, 컨설팅 등 정책사업을 연계 지원한다.
전문적인 경영능력을 갖춘 스마트농업인 육성에도 나선다. 스마트농업 실습 교육을 제공하는 ‘전문교육기관’을 지난해 2개소에서 올해 4개소로 늘린다. 전문적인 교육과 컨설팅 능력을 갖춘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제도’도 도입한다. 농업인의 기술도입 장벽을 완화하기 위해 스마트팜 종합자금 지원품목과 규모도 확대한다.
경제성을 중심으로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케이(K)-스마트팜 표준모델을 구축한다. 기후변화, 노동력 감소를 극복하기 위하여 드론, 로봇 등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을 고도화하고, 자율주행 농기계의 보급에 필요한 검정기준, 융자제도 등을 정비한다. 스마트온실과 수직농장은 표준모델을 구축하고 호환성과 수출경쟁력을 중점적으로 강화한다.
스마트농업 연관산업의 발전 기반을 구축한다. 우수기업을 선정해 자금, 투자유치 등 정책지원을 집중하고, 우수 농업회사법인은 기자재·서비스 생산 등으로 사업범위 확대를 허용한다. 스마트농업데이터산업 성장을 위해 데이터 자산 형성 및 거래활성화에 필요한 기반도 조성한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스마트농업과 연관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스마트농산업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