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난해 국내 한계기업 비중 증가…“적기 구조조정·개선 필요”

장영은 기자I 2024.09.26 11:00:00

[9월 금융안정 상황]
작년 말 한계기업 전체 16.4%로 전년比 상승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정상기업에 부정적 영향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채무 상환 능력이 취약한 국내 한계기업이 지난해 증가했다. 한계기업의 비중은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정상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하면 적절한 시기에 구조조정을 단행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를 열고 최근 금융안정 상황을 점검하면서 “지난해 말 기준 한계기업의 비중은 그 수와 차입금을 기준으로 각각 16.4%, 26%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샹승했다”고 밝혔다.

한은측은 올해 7월 말까지 입수 가능한 비금융법인 외감기업(외부감사를 받는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분석대상 기업 수는 2023년 기준 2만8946개(대기업 5474개, 중소기업 2만3472개)이다. 한계기업은 일반적인 정의에 따라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3년 연속 1을 하회해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상태를 지속한 기업으로 봤다

업종별 한계기업 비중(차입금 기준)은 숙박음식이 59%로 가장 높았으며, △운수 49.2% △전기가스 46.1% △부동산 43.8% 등의 업종도 한계기업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공(0.2%), 석유화학(4.1%), 전기전자(11.3%) 등의 업종은 한계기업 비중이 낮얐다.

한계기업 진입 전과 후의 재무지표를 정상기업과 비교·분석한 결과, 기업은 한계기업으로 편입되기 전 정상기업에 비해 수익성과 유동성이 악화되는 가운데 차입을 확대하는 특징을 보였다. 한계기업이 된 이후에는 늘어난 부채를 상당기간 축소하지 못했다. 한계기업 신용공여 규모를 업권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은행권이 125조3000억원으로 가장 크다. 상호금융(13조1000억원), 저축은행(3조9000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예금취급기관의 전체 기업대출의 8.5%가 한계기업에 대한 여신이었으며, 은행은 10%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 취약업종인 부동산업 한계기업 신용공여액 중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비중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부동산 업종의 부실 리스크가 비은행기관 자산 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한은은 “한계기업이 정상기업의 재무성과 및 자금조달여건 등에 미치는 외부효과를 분석해 보면, 업종 내 한계기업 증가는 정상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현금흐름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한계기업이 많아지면 정상기업의 평균 차입이자율도 높였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부정적 외부 효과를 고려했을 때 중장기적으로 한계기업에 대한 적기 구조조정과 함께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취약업종의 구조개선 노력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한은의 분석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상장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기업 수 기준)은 18.3%로 선진국 평균(22.9%)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