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가 통계 왜곡 의혹을 조사해 이날 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가 통계 왜곡 의혹 중간결과를 발표하고 장하성·김상조 전 정책실장과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 22명에 대한 검찰의 수사를 요청했다.
윤 원내대표는 “국가를 운영하는 데 있어 통계는 진실성이 생명”이라며 “통계를 기반으로 정책이 추진되는데, 이를 왜곡하거나 허위로 작성하면 국정 운영의 기본이 흔들린다”고 꼬집었다.
민주당에서 감사원의 결과 발표가 조작됐다고 한 것에 대해선 “우리 정부에서 하는 감사를 전체적으로 신뢰하지 못하겠다는 불신을 표현한 것”이라며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면서 반론을 제기하면 설득력이 있을 텐데, (말로만) 조작했다고하니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부동산만큼은 자신 있다’던 문 전 대통령의 호언장담은 대체 어떤 의미였냐”며 “통계 조작이든 왜곡이든 물불 가리지 않고 부동산 이념 정책을 펴겠다는 것이었냐, 아니면 호언장담 맞춤형 통계 조작이었냐”고 따져 물었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논평에서 “객관적이고 정확해야 할 통계치를 오로지 자신들의 실정을 덮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다”며 “국민 고통은 안중에도 없이 되려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려 한 ‘국기문란 행위’나 다름없다”고 했다.
강 수석대변인은 “‘폭망’한 정책을 주도하고 조작한 이들 모두에 대해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며, 최종 지시한 ‘윗선’의 끝이 어디인지도 명백히 밝혀내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도 논평에서 “심각한 국기문란이자 국정농단이다. 사회주의 독재국가에서나 있을 법한 일”이라며 “조작과 선동의 DNA가 아니라면 상상조차 하기 힘든 일”이라고 질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