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국힘 대선 후보 김문수…한덕수와 단일화 시나리오는?

김한영 기자I 2025.05.03 19:05:04

3일 한동훈 누르고 최종 대선 후보 진출한 金
'반명 빅텐트'에 가장 적극적…다만 변수 많아
단일화 '시간·명분·효과' 관건…과제 첩첩산중
전문가 "金·韓 이미지 비슷…외연확장 효과 無"

[이데일리 김한영 기자] 3일 국민의힘 대선 최종 후보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선출되면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에 대한 논의가 가속화할 전망이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당선되자 한동훈 후보의 축하를 받고 있다.
김 후보는 이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한동훈 후보를 누르고 최종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특히 그는 당내 ‘반(反) 이재명 빅텐트’ 구상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인물인 만큼,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제로 김 후보는 경선 초반부터 한 후보와의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이날 후보 수락 연설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라면 어떤 세력과도 강력한 연대를 구축하겠다”라며 “국민과 당원이 납득할 수 있는 절차와 방식으로 추진하겠다. 그리고 마침내 이기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최종 단일화까진 난항이 예상된다. 우선 시간이 촉박하다. 후보 등록 마감일은 오는 11일, 대선 홍보물 마감일은 7일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 두 날짜를 단일화의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더 큰 변수는 김 후보 본인의 태도 변화다. 김 후보는 그간 반명 연대에 적극적이었지만 최근엔 단일화에 앞서 “명분”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한 전 총리가 지금 무소속으로 돼 있다”며 “다 우리 당에 입당했으면 제일 좋았지만, 걱정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더 논의를 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일 김 후보는 김태흠 충남지사와의 회동 직후에도 “(국민은) 국민의힘이 왜 경선을 했는지, 그리고 한 권한대행은 왜 출마했는지를 보고 있다”며 “명분에서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단일화를) 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건이 ‘유죄 취지 파기환송’으로 정리되면서, 반명 단일화의 명분 자체가 흔들렸다는 평가도 나온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종로구 주민공동시설 ‘새뜰집’ 온기창고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만나 포옹을 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김 후보의 최종 후보 선출에 따라 단일화의 효용성도 줄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 후보와 한 전 총리 모두 친윤계(親윤석열) 색채가 짙기 때문에 단일화의 근본적 목적인 외연 확장을 통한 지지율 흡수가 막혔다는 지적이다.

신율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데일리에 “한 전 총리와 김 후보는 이미지가 중첩이 되는 부분이 굉장히 많다”며 “단일화의 효용성을 다른 두 후보를 합치면서 외연확장이 되고 그로 인해 지지율이 늘어나는 건데, 외연확장이 어렵다는 점에서 단일화의 효용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친윤계 색채를 해소하기 위해 한 전 총리를 포함해 다른 인물과의 단일화의 필요성도 대두됐다.

이 같은 시선을 의식한듯 김 후보는 기자회견에서 찬탄(탄핵찬성)파인 한동훈 후보와 안철수 후보에게 러브콜을 보내기도 했다. 그는 “저와 경쟁한 모든 분을 선대위원장으로 모실 생각”이라며 “한동훈 후보의 젊은 패기와 안철수 후보의 능력 등은 다 저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후보에겐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 및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등과 연대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실제로 이 상임고문은 이번 대선 출마를 준비하면서 ‘반(反)이재명 빅텐트’ 참여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다만 이준석 후보와 단일화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후보는 “나는 빅텐트니 스몰텐트니 황금텐트라도 참여할 의향이 없다”라며 독자 행보를 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바 있다. 또 한 전 총리를 향해 “비상계엄과 조기 대선에 책임 있는 사람들과 함께 하기 싫다”고도 말했다.

제21대 대선

- 구미서 울먹인 김문수 “박근혜 전 대통령 명예 회복돼야” - 이준석 “이재명 ‘부정선거론’ 사과해야…이번주 지지율 15% 이상 목표” - 민주당 "안보불안 부추긴 김문수는 사과하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