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전, 지난해 72건 전력망 준공으로 연 8500억원 아꼈다

김형욱 기자I 2025.01.22 11:30:03

주민 수용성 악화·수도권 집중 어려움 속,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등 차례로 마무리
전력 구입부담 낮춰 전기료 인상요인 흡수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한국전력(015760)공사(이하 한전)가 지난해 총 72건의 전력망 구축 사업을 마무리하며 8500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확보한 것으로 집계됐다.

송전철탑 모습. (사진=게티이미지)
한전은 이 같은 지난해 송·변전 건설사업 집계 성과를 22일 발표했다. 전력 공기업인 한전은 전국 발전 전력을 실시간으로 공장·가정 등 수요처에 보내는 국내 전력망 구축 업무를 도맡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같은 전력 다소비 산업의 발전으로 수도권 중심의 전력망 구축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한전은 이 같은 전력망 확충 부담 속 지난해 총 72건의 사업을 준공했다. 추진 사업 자체가 늘어나면서 준공 사업 건수도 2022년 34건, 2023년 56건으로 매년 늘어나는 모습이다.

그러나 사업 추진 여건은 악화 일로다. 최근 송전철탑이나 변전소 같은 전력망 시설에 대한 주민 수용성 하락과 태양광·풍력 발전 설비 확대에 따른 분산화 등이 맞물린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11월 준공한 345킬로볼트(㎸)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충남 발전 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하는 수도권의 주요 전력망이었으나, 2003년 사업계획 수립 후 무려 21년 만에 준공했다. 이 사업 지연으로 1.3기가와트(GW) 규모의 서해 지역 발전소가 수도권 공급이 막혀 국가 차원의 전력 수급에 어려움으로 남겨져 왔다.

한전이 지난해 착공하려던 동서울변전소 증설 및 옥내화 사업도 주민 반발과 이에 못 이긴 하남시의 불허로 1년 가까이 지연 중이다. 경기도 행정심판위는 지난해 12월 하남시의 결정이 부당했다며 한전의 손을 들어줬지만, 아직 사업 개시는 못 하고 있다. 이곳은 동해안-수도권 초고압직류(HVDC) 송전선로의 종점 격인 만큼 준공 지연 땐 역시 국가 전반의 전력 수급 차질이 우려된다.

한전은 이 같은 어려움 속 정부와 함께 입지 선정 과정 때부터 주민을 참여시키고, 지역주민 지원 단가는 18.5% 올리는 등 관련 법·제도 개선을 통해 주민 수용성 개선에 나섰다. 또 이 같은 노력이 지난 한해 적잖은 사업을 준공시키는 성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운영하는 서울 마포 중부변전소 전경. 주민 수용성을 위해 최근 미관을 개선했다. (사진=한전)
지난해 9월엔 충남 예산과 경남 부북(밀양) 등 전국 각지에 978메가와트(㎿) 규모 계통안정화용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해 운영을 시작했다. 아시아 최대 규모다. 전력은 저장이 어려운 특성상 전력망이 실시간 수요-공급량을 맞춰야 하지만, 대규모 ESS를 구축해 놓으면 수요가 적을 땐 전력을 저장해뒀다가 많을 때 공급하는 형태로 전력계통 주파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지난해 11월엔 완도-동제주 HVDC 송전선로 구축도 마무리해 제주 지역의 전력 안전성과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확충 여건도 마련했다.

한전은 지난해 72건의 전력망 구축 사업 완료로 연간 약 8500억원의 전력 구입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했다. 21년 만에 준공한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서해안 발전소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연 3500억원의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ESS 구축 역시 전력 공급 부담을 줄임으로써 연 5000억원의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

한전의 사업 구조는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사 와서 소비자에게 되파는 방식인 만큼, 전력망 확충에 따른 전력 구매량 감소는 곧 소비자 전기요금 인상 요인을 흡수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한전이 연 8500억원어치 전기를 더 사면 전기요금은 1킬로와트시(㎾h)당 1.6원(약 1%) 오르는 효과가 있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도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 혁신을 계속 추진해 전력망을 제때 건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