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동조사단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전사·순직 군인 유가족 찾기’ 중간 현황을 발표했다.
권익위, 국방부, 보훈처 3개 기관은 지난해 12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정부혁신 ‘전사·순직 군인 유가족 찾기 특별조사단’을 출범했다.
육군은 지난 1996~1997년 재심의를 실시해 육군 9700여명을 전사·순직자로 변경하고 7700여명은 통지를 완료한 바 있었다. 그러나 나머지 2048명은 주소 불명 등의 이유로 여전히 유가족을 찾지 못한 상태다.
정부 합동 특조단은 지난 1월부터 전사·순직 군인 2048명의 이름과 군번, 지역 등을 정리해 공개했다. 이를 통해 유가족이나 이를 아시는 분들의 신고와 제보를 받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내에 유가족 정보 확인을 일일이 요청했다. 아울러 국가보훈처 서류 대조 등 다각도로 조사를 벌여 조사가능한 전사·순직 군인 1622명을 선별했다. 유가족을 직접 만나뵙는 대면조사도 진행됐다.
그 결과 135명의 신분을 추정, 최종 검증을 거쳐 94명의 전사·순직 군인 유가족을 찾았다. 나머지 41명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인 만큼 이 숫자는 향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유가족을 찾으면 정부 합동 특조단은 면담 등을 통해 전사·순직 사실을 유가족에게 알려주고 유가족이 원하는 경우 현충원 위패봉안·이장 등을 지원한다. 또 직계 유족이 없는 경우 국가보훈처가 직권으로 등록절차를 진행한다.
정부 합동 특조단은 “6·25전쟁 무렵부터 70년 이상 시간이 흐른 만큼 단 한 분이라도 유가족을 더 찾기 위해서는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 관심과 참여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전현희 권익위원장은 “전쟁 후 70년이 지난 탓에 과거 행정자료 등이 제대로 남아있지 않아 조사가 매우 어려웠다”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시거나 또 해당 주소지가 논이나 밭으로 변경돼 있는 경우도 있었다”며 어려움을 강조했다.
실제 이번 가족을 찾은 전사·순직 군인들 유가족 중에서는 특조단 출범 뉴스 등을 확인하고 직접 전화를 걸어 고인의 순직 여부를 확인한 사례도 있었다.
전사·순직 군인 2048명 명단은 권익위 및 국민신문고, 육군 본부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특조단 전화를 통해 가족이나 친지, 지인 등에 관한 상담·제보도 가능하다.
전 위원장은 이번 정부 합동 특조단이 출범하게 된 경위도 설명했다. 6·25전쟁 때 아들을 전장에 보낸 어머니가 70여년 동안 아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면서 이사도 가지 않고 낡은 집에서 아들을 기다리다가 결국은 그 소식을 듣지 못하고 어머니는 사망하셨다. 유가족들은 안타까운 마음에 아들의 생산을 확인해달라는 민원을 권익위에 접수했다.
권익위 조사 결과, 아들은 70년 전 6·25전쟁에서 사망했지만 유가족에 그 사실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였다. 권익위는 이처럼 전사·순직 사실이 확인됐음에도 유가족에게 전달되지 않는 사례가 많을 것으로 보고 국방부와 보훈처와 협업하게 됐다.
정부 합동 특조단 운영은 업무협약에 근거해 6월 30일까지로 돼 있다. 다만 육군은 이와 별개로 2024년 12월 31일까지 자체 특조단을 운영해 유가족 찾기에 나설 예정이다. 이후 특조단 운영 여부는 그간 성과에 달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