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업별 상황에 맞는 주주환원이 '밸류업' 성공의 핵심"

김인경 기자I 2024.07.23 14:20:17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거래소서 간담회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한국의 밸류업 지원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선 기업별로 다른 상황을 고려해 주주환원 규모를 판단하는 ‘섬세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또 정책적으로 상법 개정까지 논의가 확장돼야 한다는 시각도 제기됐다.

23일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밸류업 관점에서 본 한미일 증시’를 주제로 간담회를 열고 한국 밸류업 지원정책의 지향점에 대해 발표했다.

김 센터장은 한미일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해 “미국은 패시브 펀드가 최대 주주고 일본은 오너의 개념이 약한 반면 한국은 오너로 불리는 지배주주들이 실질적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미국에선 주주자본주의의 과잉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구성 기업 중 31개 기업이 전액 자본잠식 상태로, 이들 기업은 맥도널드나 스타벅스 등 우량기업으로 집계됐다.

김 센터장은 이에 대해 “자기자본을 줄여서 만든 극강의 자본효율성”이라며 “주주권 행사에 관심이 없는 패시브 투자자의 증가는 경영진의 전횡과 단기주의 횡행으로 귀결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달리 일본 증시가 ‘밸류업’을 성공시킬 수 있던 것은, 중앙은행의 양적완화와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에 민간의 구조조정을 통한 성장전략이 결합한 결과라는 평가다.

한국에서 이런 성공 사례가 재연되기 위해선 적절한 주주환원을 통해 자기자본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김 센터장은 강조했다.

적절한 주주환원 규모를 판단하기 위해 △현재 상황에 대한 분석과 평가 △투자자들을 고려한 기업가치 제고안 계획 및 공표 △주주 및 투자자들과의 지속적 소통 등 일본거래소가 기업가치 제고 프로세스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방향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무조건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CAPM) 같은 공식을 통해 자본비용을 산출할 것이 아니라 투자자의 기대수익률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궁극적으로 주주와 소통이 중요하다”면서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정보를 자세히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일본은 주주들과 소통하는 CSEO라는 직책을 신설하기도 했다.

김 센터장은 밸류업 추진 과정에서 상법 개정까지 정책 논의를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식 투자에 나선 국민이 급증한데다, 가계금융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라도 밸류업을 ‘국부’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정부는 밸류업 지원정책의 일환으로 기업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에 ‘회사’뿐만 아니라 ‘주주’를 추가하는 내용으로 상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재계는 포이즌필이나 차등의결권 등 경영권 방어 수단이 없는 상황에서 개정이 경영 판단 위축을 불러올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