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향후 통화정책 운용은 성장의 하방위험이 증대된 만큼 기준금리의 추가 조정 필요성이 커졌다고 전했다.
|
우선 국내 성장률의 하방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지난해와 금년 성장률은 지난 11월 전망치인 2.2% 및 1.9%를 하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성장경로도 정부의 경기대응책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국내 정치 상황 변화, 미 신정부의 정책방향 등과 관련한 하방리스크가 큰 상황”이라고 짚었다.
이어 이번 금통위서의 기준금리 결정배경에 대해 “지난해 11월 통방 이후 정책 여건의 가장 큰 변화는 비상계엄 사태에서 촉발된 정치적 리스크의 확대였다”면서 “이러한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진단하고 예측하면서 이를 통화정책 결정에 어떻게 고려하여야 하는지 많은 고민과 논의를 이어왔다”고 전했다.
이후 주택가격과 가계대출은 거시건전성정책의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매수심리도 약화되면서 당분간 둔화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 총재는 “성장은 하방위험이 증대됐고 국내 정치상황, 경기부양책의 규모와 시기, 미 신정부의 정책방향 등과 관련한 전망의 불확실성도 매우 크다고 봤다”면서 “물가는 그간의 안정적 흐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높아진 환율이 물가에 미칠 영향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향후 통화정책에 대해선 성장의 하방위험 증대를 강조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의 통화정책 운용은 성장의 하방위험이 증대된 만큼 기준금리의 추가 조정 필요성이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국내 정치 상황 및 대내외 경제정책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가계부채 및 환율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