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거래가 늘은 영향이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 쏠림 속에서 서울은 주택가격 부담에 인구가 계속 빠져나가는 추세다.
|
연간 이동자 수는 2000년 900만명대였지만 2010년 823만명, 2020년 774만명 수준으로 점차 줄었다. 2021년엔 721만 3000명, 2022년 615만 2000명, 2023년 612만 9000명까지 감소하다 지난해에 4년 만에 반등했다.
작년 이동자 수 증가는 주택거래가 늘은 영향으로 해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이동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라면서 “단기적으로는 주택지표의 영향을 받는데 지난해 1~11월 주택 매매량이 14.7%, 7만 6000건 늘면서 이동자 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인구이동의 주된 사유도 ‘주택’으로 조사됐다. 3명 중 1명 이상(34.5%)이 주택 문제로 전입했다고 응답했다. 이어 가족(24.7%), 직업(21.7%) 등 순이었다.
|
서울에서는 2023년 3만 1000명에 이어 2024년엔 이보다 많은 4만 5000명이 빠져나갔다. 10명 중 6명은 경기로 이동했고, 전입사유는 ‘주택’이 가장 많았다.
서울과 함께 부산(1만 4000명), 경남(9000명), 광주(8000명) 등에서 눈에 띄게 인구가 빠졌다. 순유출율이 가장 크게 늘은 곳은 제주로 0.3%포인트 증가했다.
시군구별로 좁혀 보면 대구 중구·경기 양주시·경기 오산시에선 인구 순유입이, 서울 용산구·경기 의왕시·경북 칠곡군은 인구 순유출이 일어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울 용산구의 경우 재건축·재개발 등으로 인해 인근 지역으로 유출이 일어났기 때문에 순유출이 높았다”고 말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2.3%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별 이동률은 20대가 23.9%로 가장 컸고, 전년대비 증가율도 1.1%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30대는 0.9%포인트 늘어 21.0%를 기록했다. 60대는 7.1%, 70대 5.0%, 80세 이상은 5.5% 등으로 전년에 비하면 0.1%포인트 안팎으로 변화가 적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