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단일화 성사까지 '첩첩산중'…무산시 한덕수 출마 포기?

박민 기자I 2025.05.06 16:13:43

협상 시한 마지노선, 9일로 예상
단일화 과정에서 ‘방식’ 쟁점화도
“김 후보 결단에 따라 단일화 성사”
무산시 한 후보 사퇴 여부 ‘촉각’

[이데일리 박민 김형일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 후보 간 단일화 방식과 주도권을 놓고 진통이 거세지면서 단일화 지연 및 무산에 따른 여파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단일화 추진 과정에서 후보 간 유불리에 따른 ‘단일화 방식’이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단일화 무산시 한 후보의 ‘사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직면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왼쪽)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불기 2569년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초 계획대로 김 후보와 한 후보가 단일화를 진행할 경우 늦어도 오는 9일 안에는 결론을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11일까지 단일화하려면 9일에는 협상이 마무리돼야 한다”며 “여론조사가 최소 하루 이상 걸리는 만큼 9일 밤에 여론조사를 하고 다음날 국민의힘 대선 후보 확정, 11일 후보 등록까지 마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단일화 진행 과정에서 최대 쟁점은 ‘방식’이다. 현재 단일화 방식으로는 크게 두 가지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하나는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처럼 ‘정치적 담판을 통한 단일화’, 또 하나는 2002년 ‘노무현-정몽준식의 ’여론조사‘ 방식이다.

앞서 김 후보 측은 경선 초기부터 단일화를 주장하면서 ‘노무현-정몽준 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김 후보는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때를 보면 여론조사로, 소위 말하는 원샷 경선을 했다. 그런 신속하고도 이의제기 없는 방식을 택해야 하지 않겠나 생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2002년 당시 노 후보와 정 후보가 여론조사 세부 문구, 당심 반영 여부 등을 두고 첨예한 신경전을 펼쳤던 것처럼 이번에도 양측 간 대치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한 후보가 김 후보를 앞서고 있는 만큼 김 후보로서는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새로운 방식의 모델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김 후보는 경선을 거쳐 선출된 후보”라며 “외부에서 단일화해서 한덕수가 이겼다 해도 이긴 사람이 입당해서 후보가 될 수 있다는 규정은 없다. 결국은 당무 우선권을 쥔 김 후보에 결단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했다.

만약 후보자 등록일인 11일을 넘겨 한 후보로 단일화가 될 경우 국민의힘 기호인 ‘2번’을 쓸 수 없게 된다. 무엇보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한 후보에게 국민의힘은 수백억 원에 이르는 당 자금도 지원할 수 없다. 이에 당 내에서는 ‘선 입당 후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단일화가 무산되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단일화 결렬 시 기호 2번은 김문수 후보, 그리고 한 후보는 다른 번호를 받고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된다. 기호 1번은 의석수가 가장 많은 정당의 후보에게 주어지는 만큼 이재명 후보가 갖게 된다.

한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 시 당의 조직력이나 자금 지원도 받을 수 없어 결국 출마를 포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신 교수는 “가장 중요한 건 선거비다. 지난 대선 때 국민의힘이 보전 받은 비용만 430억원”이라며 “그 돈을 한 후보가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단일화 지연 및 무산 우려가 커짐에 따라 7일 전 당원을 대상으로 한 ‘후보 단일화 찬반 여론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단일화 협의를 추진해 오는 11일 이전에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실상 김 후보에게 주어진 마지막 선택지이자, 당 지도부가 내민 ‘최후통첩’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