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단일화 진행 과정에서 최대 쟁점은 ‘방식’이다. 현재 단일화 방식으로는 크게 두 가지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하나는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처럼 ‘정치적 담판을 통한 단일화’, 또 하나는 2002년 ‘노무현-정몽준식의 ’여론조사‘ 방식이다.
앞서 김 후보 측은 경선 초기부터 단일화를 주장하면서 ‘노무현-정몽준 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김 후보는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때를 보면 여론조사로, 소위 말하는 원샷 경선을 했다. 그런 신속하고도 이의제기 없는 방식을 택해야 하지 않겠나 생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2002년 당시 노 후보와 정 후보가 여론조사 세부 문구, 당심 반영 여부 등을 두고 첨예한 신경전을 펼쳤던 것처럼 이번에도 양측 간 대치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한 후보가 김 후보를 앞서고 있는 만큼 김 후보로서는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새로운 방식의 모델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김 후보는 경선을 거쳐 선출된 후보”라며 “외부에서 단일화해서 한덕수가 이겼다 해도 이긴 사람이 입당해서 후보가 될 수 있다는 규정은 없다. 결국은 당무 우선권을 쥔 김 후보에 결단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했다.
만약 후보자 등록일인 11일을 넘겨 한 후보로 단일화가 될 경우 국민의힘 기호인 ‘2번’을 쓸 수 없게 된다. 무엇보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한 후보에게 국민의힘은 수백억 원에 이르는 당 자금도 지원할 수 없다. 이에 당 내에서는 ‘선 입당 후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단일화가 무산되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단일화 결렬 시 기호 2번은 김문수 후보, 그리고 한 후보는 다른 번호를 받고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된다. 기호 1번은 의석수가 가장 많은 정당의 후보에게 주어지는 만큼 이재명 후보가 갖게 된다.
한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 시 당의 조직력이나 자금 지원도 받을 수 없어 결국 출마를 포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신 교수는 “가장 중요한 건 선거비다. 지난 대선 때 국민의힘이 보전 받은 비용만 430억원”이라며 “그 돈을 한 후보가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단일화 지연 및 무산 우려가 커짐에 따라 7일 전 당원을 대상으로 한 ‘후보 단일화 찬반 여론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단일화 협의를 추진해 오는 11일 이전에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실상 김 후보에게 주어진 마지막 선택지이자, 당 지도부가 내민 ‘최후통첩’이라는 해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