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테슬라·엔비디아 공매도 세력, 올해 얼마나 벌었나

김윤지 기자I 2025.04.23 11:55:46

테슬라 40% 하락에 16조원 챙겨
''공매도 1위'' 엔비디아, 13조원 평가수익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주가 하락에 베팅한 투자자들이 115억달러(약 16조 4438억원)를 벌어들였다고 22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매체 CNBC가 보도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AFP)
CNBC가 인용한 금융정보업체 S3파트너스에 따르면 올해 테슬라에 숏 포지션(공매도)을 취한 투자자들은 전일 종가 기준 115억달러의 평가이익을 기록했다. 동일 기준 테슬라 주가는 연초 대비 44% 하락했다. 테슬라는 1분기에만 36% 폭락해 대형 기술주 중 가파른 낙폭을 보여줬다.

엔비디아에 숏 포지션을 취한 투자자들도 올해 94억 달러(약 13조 4410억원)의 평가 수익을 올렸다. 전일 종가 기준 엔비디아는 올해 약 28% 하락했다.

S3에 따르면 현재 가장 많은 숏 포지션이 설정된 종목은 엔비디아로 246억 달러(약 35조 1755억원) 규모에 달하며 그 뒤를 애플(222억달러), 테슬라(176억달러)가 잇고 있다.

이날 테슬라는 정규장 마감 후 1분기 매출이 193억4000만달러(약 27조 6542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 211억1000만달러(약 30조 1851억원)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 특히 자동차 부문 매출은 140억달러(약 20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다.

중국 전기차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 전기차 라인업의 노후화 등과 함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정치 활동이 판매 부진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머스크 CEO의 정치 활동과 일련의 발언들이 브랜드 가치를 훼손, 판매 부진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미국과 유럽 등에선 머스크 CEO에 대한 반발로 인해 항의 시위와 테슬라 불매 운동, 테슬라 차량 및 시설을 대상으로 한 범죄 행위까지 발생했다.

이에 머스크 CEO는 콘퍼런스콜에서 내달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서의 활동 시간을 크게 줄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오는 6월부터 텍사스 오스틴에서 완전 자율주행차 서비스를 시작하겠다는 약속 또한 반복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