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두 가지 원칙은 분명하다”며 “하나는 한덕수 후보와 단일화를 반드시 이뤄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단일화가 오는 11일까지 완료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두 가지 원칙은 단지 당의 편의나 정파적인 입장에 따른 것이 아니라 우리가 대선을 승리하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목표 시한 내 후보 단일화에 실패 시 비대위원장직을 사퇴할 것이라며 스스로에게 배수진까지 치며 김 후보를 향한 압박 수위도 높였다. 그는 “만약 목표 시한 내에 대통령 후보 단일화에 실패한다면 저는 당연히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을 사퇴할 것”이라며 “단일화에 성공한다 하더라도 여러분의 뜻이 그렇다면 제가 비대위원장을 계속해서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수를 뒀다.
권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 직후 단일화를 성사시키기 위해 대구로 향했다. TK(대구·경북) 유세 일정을 진행 중인 김 후보를 만나 단일화 설득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반명(反이재명) 빅텐트’ 구축을 위해 서울에서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과 만나 ‘개헌 연대’를 논의했던 한 후보도 김 후보를 만나기 위해 대구행에 동참했다.
|
무엇보다 김 후보는 당 지도부가 자신을 공식 대선 후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당이 후보 측의 요구안을 무시하고 단일화 추진 기구를 일방적으로 구성해 통보했고, 선거대책본부 구성과 당직자 임명에도 협조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다. 김 후보는 전날 저녁 당 지도부와의 면담에서 △후보의 당무 우선권 존중 △선대위 즉시 구성 △선거대책본부와 후보가 지명한 당직자 임명 즉시 완료 등을 지도부에 요구했지만, 당은 일부만 수용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입장문을 내고 “당은 후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현재까지도 후보를 배제한 채 일방적 당 운영을 강행하는 등 사실상 당의 공식 대선후보로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당에서 단일화 과정을 어렵게 만드는 상황이 계속 발생하는 사실, 의구심을 짙게 하는 당의 조치들 때문에 단일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점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특히 단일화 데드라인이 오는 11일 대선후보 등록 마감이란 점에서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김 후보 캠프 내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여론조사에서 한 후보가 김 후보를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김 후보에겐 단일화 시기가 불리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당무 우선권을 앞세운 조직력과 정치자금 등을 활용해 지지율을 보다 끌어올린 뒤 단일화에 나서려 한다는 셈법도 나온다.
다만 대선을 한 달 앞둔 상황에서 단일화가 늦어질수록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본선 경쟁에서 뒤처지고, 단일화 찬반 갈등에 따른 당내 분열을 야기했다는 비난을 피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실제로 이날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이 “단일화할 마음이 없다면 김문수 후보는 후보 자격을 내려놓고 길을 비켜라”라고 밝혔다. 단일화 국면에서 김 후보의 사퇴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거론한 주요 당직자는 사실상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