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체적으로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처럼 미국 에너지 수입 확대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3대 천연가스(LNG) 수입국인데, 수입 물량 일부를 미국으로 돌려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이끌겠다는 복안이다.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도 미국산 원유·가스 도입 비중을 크게 늘린 바 있다. 또 수출 기업들을 뒷받침하도록 역대최대 규모인 360조원의 무역금융 등을 빠르게 공급하고, 국내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 등을 살펴보고 있다.
이처럼 각종 대비에 나서고 있지만, 트럼트 당선인의 특성상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정부에서는 잔뜩 긴장하고 있는 분위기다. 당장 취임 직후에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가능성부터 예상보다 관세부과 시점이 늦춰지거나 대상 품목이 소폭에 그칠 수 있는 등 다양한 예측이 나오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피해가 예상되고 어떤 지원이 필요할지 정책을 만드는 정부로서도 가늠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 정부부처 관계자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구체적인 통상 정책 방향이나 시점이 예측이 안된다”며 “그간 트럼프 당선인이 직·간접적으로 언급했던 내용들을 바탕으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한 통상 정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통상 정책 변화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에도 정부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정부에서는 트럼프 취임 직후 환율이 급등·급락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고,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관세 부과 및 연준의 금리 인하 조기 중단 가능성에 가뜩이나 높은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지만, 반대로 이미 트럼트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영향이 시장에 선반영이 돼 취임 후에는 오히려 환율이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7일 미국 차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변화 가능성에 원달러 환율은 1450원대로 떨어졌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관련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연일 비상 대응 체계를 강조하고 있다. 이날 국책연구기관장들을 만나난 자리에서도 “미국의 신정부가 주요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집권 초기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향후 우리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골든 타임’이 될 것”이라며 “신정부의 구체적 정책변화에 맞춰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트럼프 2기 통상정책이 실현되면 우리 경제에 상당한 충격파가 예상되는 만큼, 정부에서는 행정 명령 등 변화에 따른 발빠른 대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