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 의약품인 휴미라는 바이오시밀러들의 도전에도 지난해 매출 약 207억달러를 기록했다. 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는 초창기 저농도 제형으로 개발됐으나 현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고농도 농축 제형으로 교체되는 추세다. 오리지널사인 애브비는 물질 특허 만료 이후에도 휴미라 시장 방어가 가능하도록 고농도 제형에 관련된 특허를 다수 등록해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바이오시밀러 경쟁사들은 주 시장이 될 고농도 제형 시장 공략을 위해 해당 제형 특허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에이프로젠은 고농도 제형 특허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수년 동안 고농도 제형 연구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회사 관계자는 “최근 오리지널사인 애브비와 차별화된 고농도 제형 기술 개발에 성공해 독자적인 특허를 출원하는 쾌거를 이뤘다”며 “자사의 제형 기술은 오리지널 제품에 비해 장기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독보적인 기술로 향후 30조원에 달하는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현재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임상시험을 준비중이다. 특히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의 임상시료 생산 공정을 통해 압도적인 생산성을 실현했다. 식약처 제조 및 품질관리(GMP) 인증을 받은 오송공장에서는 2000리터 배양기 1기만 가동해도 연간 약 1100kg의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 양은 휴미라 오리지널과 바이오시밀러를 합친 연간 글로벌 수요의 110%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 정도 양의 바이오시밀러를 전통적인 배양 방식인 페드배치(fed batch, 유가식 단회배양) 방식으로 생산하려면 4기 이상의 1만5000리터 배양기(합계 6만 리터 이상)를 1년 내내 가동해야 한다.
에이프로젠은 생산성 혁신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자체 개발한 초고생산성 세포주 제작 기술에 첨단 배양 방식인 퍼퓨전 배양(perfusion, 관류식 연속배양)을 적용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경쟁사들은 전통적 배양 방식인 페드배치 배양 공정을 채용하고 있다.
에이프로젠 관계자는 “압도적으로 높은 생산성에 기반한 가격 경쟁력에 이번에 고농도 제형 특허까지 갖춘 것은 의미가 크다”며 “30조원이 넘는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세계 시장에서 절대적인 강자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고 사업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