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성북구에 사는 권모(29)씨는 “저번 비상계엄 당시 소식을 듣자마자 바로 식구끼리 역할을 나눠 누나는 현금을 뽑아오고 나는 편의점으로 뛰어가 라면·통조림 등을 구매했다”며 “어린 조카가 있어 혹시나 나중에 배송이 안될까봐 분유도 미리 사서 쟁여뒀다”고 강조했다. 서울 종로구에 사는 정모(29)씨 역시 “서촌에 사는데 광화문이 불안해 바로 강동구 본가로 택시를 타고 향했다”며 “혹시나 2차 계엄이 있지 않을까 상비약이랑 생수·라면 등을 미리 사놨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시민들의 불안감은 온라인상에서 여과 없이 드러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2차 계엄시 대응 방법에 대한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한 누리꾼은 “2차 계엄을 대비해 생활비를 현금으로 3~6개월치를 확보하고 일부 자금을 금 구매에 할당하라”며 “원화 가치 하락에 대비해 달러나 유로화 같은 외화로 일부 자산을 분산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글을 쓰기도 했다.
재차 계엄에 대한 공포심이 이어지며 윤 대통령이 직접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제2의 계엄과 같은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지만 시민들은 믿지 못하겠다는 반응이다. 지난 주말 촛불집회에 참석했다던 김모(33)씨는 “윤 대통령 자체에 대해 분노한 것도 있지만 혹시나 2차 계엄이 나지 않을까 불안해서 (집회에) 나갔다”며 “여전히 군 통수권자가 윤 대통령인 상황에서 빠른 시일 내 끌어내는 것만이 답”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정치권이 나서 추후 로드맵을 빠르게 제시하는 것이 시민 불안을 줄이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입을 모았다. 윤상철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는 “1차 계엄도 이뤄질 수 없는 상황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시민 불안은 당연한 것”이라며 “정치권, 특히 정부·여당이 빠르게 수습책을 발표해 시민 불안을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