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기조적인 물가압력을 가늠할 수 있는 근원물가 상승률의 경우, 우리나라는 지난 10월부터 2%를 밑도는 수준으로 안정된 반면, 미국·유로지역은 최근까지도 3% 안팎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주요국 모두 식료품·에너지가격이 국제원자재가격 하락 등으로 크게 둔화됐고 근원상품가격도 공급망 개선, 수요둔화 등으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물가의 경우 우리나라가 하향안정세를 보이며 목표수준에 근접했으나 미국·유로지역은 여전히 4~5% 수준에서 경직적인 모습이다.
우선 우리나라는 팬데믹 이후 비교적 양호했던 방역상황에 더해 이전부터 이어온 부품의 내재화, 재고관리 노력 등이 경제활동에 대한 부정적 공급충격을 줄이면서 실제 생산 차질이 주요국에 비해 상당히 작았다. 또한 공공요금전기·가스요금 인상 자제, 유류세 인하조치 등의 정책지원도 초기 공급충격의 영향을 완충하는 데 기여했으며, 반도체, 자동차 등 글로벌 공급망과 밀접히 연관된 내구재가격의 상승폭도 주요국 대비 크게 낮았다.
또 우리나라는 양호한 방역상황으로 팬데믹 초기 노동공급의 감소폭이 비교적 작았던 데다 이후 여성·고령층을 중심으로 노동공급이 빠르게 회복됐다는 평가다. 노동시장의 긴장도를 나타내는 빈일자리율/실업률 비율이 주요국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노동시장발(發) 물가압력을 가늠할 수 있는 단위노동비용의 오름세가 미국·유로지역에 비해 빠르게 둔화됐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주요 선진국보다 이른 시점인 2021년 8월부터 금리인상을 시작했으며, 인상속도 측면에서도 2023년 1월까지 두 차례 빅스텝 포함 총 10회, 300bp(1bp=0.01%포인트) 인상하면서 인플레이션에 적극 대응했다. 보고서는 “확장재정을 장기간 이어간 주요국과 달리 우리 정부는 팬데믹 초기 대응 이후 건전재정 기조로 빠르게 선회하면서 물가안정을 위한 통화·재정 간 정책공조도 잘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고금리·고물가에 취약한 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은 지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물가의 구조적 변화 가능성을 점검해 나가야 할 것”이라면서 했다. 그러면서 “지정학적 리스크, 이상기후 등 공급측 충격이 상시화되고 있는데다 고령화, 분절화, AI 확산 등도 가속화됨에 따라 인플레이션 동학의 구조적 변화와 장기적 수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