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주요국보다 물가안정 빨라…선제적 통화·재정정책 주효”

정두리 기자I 2024.12.18 14:00:00

한은, ‘팬데믹 이후 주요국 인플레이션 경과 비교 및 시사점’
우리나라 근원물가 상승률 2% 밑돌며 안정된 반면
미국·유로지역은 3% 안팎 높은 수준 보이고 있어
“양호한 노동공급과 거시정책 공조 긍정적 영향”
“고금리·고물가 취약계층 선별적 지원은 지속해야”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팬데믹 이후 전 세계가 물가가 안정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주요국보다 빨리 물가안정 목표에 도달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는 적극적인 방역조치와 거시정책 공조를 비롯해 노동공급도 빠르게 회복되면서 충격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분석이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18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을 통해 발표한 ‘팬데믹 이후 주요국 인플레이션 경과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경과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는 주요국보다 물가상승률 정점이 상당폭 낮았으며 물가목표 수준에도 더 일찍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조적인 물가압력을 가늠할 수 있는 근원물가 상승률의 경우, 우리나라는 지난 10월부터 2%를 밑도는 수준으로 안정된 반면, 미국·유로지역은 최근까지도 3% 안팎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주요국 모두 식료품·에너지가격이 국제원자재가격 하락 등으로 크게 둔화됐고 근원상품가격도 공급망 개선, 수요둔화 등으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물가의 경우 우리나라가 하향안정세를 보이며 목표수준에 근접했으나 미국·유로지역은 여전히 4~5% 수준에서 경직적인 모습이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물가목표에 더 일찍 도달할 수 있었던 이유로 △상대적으로 작았던 공급·수요 충격 영향 △양호한 노동공급 △선제적·적극적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과의 공조 등을 꼽았다.

우선 우리나라는 팬데믹 이후 비교적 양호했던 방역상황에 더해 이전부터 이어온 부품의 내재화, 재고관리 노력 등이 경제활동에 대한 부정적 공급충격을 줄이면서 실제 생산 차질이 주요국에 비해 상당히 작았다. 또한 공공요금전기·가스요금 인상 자제, 유류세 인하조치 등의 정책지원도 초기 공급충격의 영향을 완충하는 데 기여했으며, 반도체, 자동차 등 글로벌 공급망과 밀접히 연관된 내구재가격의 상승폭도 주요국 대비 크게 낮았다.

또 우리나라는 양호한 방역상황으로 팬데믹 초기 노동공급의 감소폭이 비교적 작았던 데다 이후 여성·고령층을 중심으로 노동공급이 빠르게 회복됐다는 평가다. 노동시장의 긴장도를 나타내는 빈일자리율/실업률 비율이 주요국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노동시장발(發) 물가압력을 가늠할 수 있는 단위노동비용의 오름세가 미국·유로지역에 비해 빠르게 둔화됐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주요 선진국보다 이른 시점인 2021년 8월부터 금리인상을 시작했으며, 인상속도 측면에서도 2023년 1월까지 두 차례 빅스텝 포함 총 10회, 300bp(1bp=0.01%포인트) 인상하면서 인플레이션에 적극 대응했다. 보고서는 “확장재정을 장기간 이어간 주요국과 달리 우리 정부는 팬데믹 초기 대응 이후 건전재정 기조로 빠르게 선회하면서 물가안정을 위한 통화·재정 간 정책공조도 잘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향후 위기 발생 시에도 충격을 조기에 식별하고 유연한 정책으로 대응해 나가면서 경제의 회복탄력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고금리·고물가에 취약한 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은 지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물가의 구조적 변화 가능성을 점검해 나가야 할 것”이라면서 했다. 그러면서 “지정학적 리스크, 이상기후 등 공급측 충격이 상시화되고 있는데다 고령화, 분절화, AI 확산 등도 가속화됨에 따라 인플레이션 동학의 구조적 변화와 장기적 수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