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부산 인근 대한해협 중심부에서 길이 1.7m에 달하는 대형 돗돔이 포획됐다. 올해 들어 부산에서 잡힌 것만 벌써 5번째다.
|
김광효 선장은 “10년 동안 돗돔을 쫓아다녔지만 올해처럼 많이 잡기는 처음”이라며 “한 번에 3마리 그다음에 1마리씩 모두 5마리를 잡았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돗돔의 잦은 출현이 일본 대지진 징조라는 주장이 나왔다. 최근 사흘 동안 일본 해역에서 300회 가까이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와 관련된 게 아니냐는 추측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심해어의 출몰과 지진 발생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영석 부경대 환경지질학과 교수는 “(다음 달 지진 발생은) 상당히 어렵다고 본다”며 “만약 일어난다면 난카이 지진은 100~150년 정도 주기로 발생했는데 지금은 70~80년밖에 안 됐다. 재발 주기가 아직 안 됐다”고 했다.
박정호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도 “(심해어와 지진의 연관성은) 속설에 의한 것이지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없다”며 “출현이 늘었다고 지진의 영향이라고 말하기는 좀 어려울 것 같다”고 했다.
한편 앞서 지난 2월에도 제주 해상에서 몸길이 183cm, 무게 140kg에 달하는 초대형 돗돔이 잡혀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