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지난달 미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은 카스퍼스키의 미 자회사인 카스퍼스키랩이 미 고객의 민감 정보를 빼내 러시아 정부에 제공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미국 내 또는 미국인을 상대로 해당 업체의 사이버 보안 제품·서비스 판매를 금지했다. 이는 지난 2018년 연방정부에서 제품 사용을 제한한 것에서 더 나아가 민간 영역에서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은 것이다.
카스퍼스키는 이번 입장문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제3기관에서 자사 제품의 보안을 독립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미국 상무부에 제안했지만, 상무부는 제품·서비스의 무결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보다는 현재 지정학적 분위기와 이론적 우려를 기반으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러시아가 2년 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미국 등 서방 국가와 관계가 급격히 악화된 것이 화근이 됐다. 당시 카스퍼스키는 중립적인 성명을 발표했지만, 러시아 기업이라는 우려를 해소하지 못했다. 캐나다와 독일 등 국가 정부는 이미 카스퍼스키 제품을 배제하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BIS에 따르면 카스퍼스키는 현재 31개국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전 세계 200여개 국가에서 사용자 4억명과 기업 고객 27만곳에 백신 프로그램을 제공 중이다.
이번 미 상무부의 결정에 불쾌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카스퍼스키는 입장문에서 “무결성과 신뢰성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입증하기 위해 다른 사이버 보안 기업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아주 중요한 투명성 조치를 시행해 왔다”며 “미 상무부의 결정은 저희의 이러한 노력과 증거를 부당하게 무시한 처사”라고 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보안 분야의 국제 공조가 더뎌질 수 있다는 점도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