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는 이웅희 청정에너지연구센터 박사 연구팀이 전기화학 기술을 활용해 리그닌에서 추출한 바이오매스를 지속가능항공유(SAF) 원료로 전환했다고 24일 밝혔다.
|
하지만 리그닌에서 추출한 오일은 산소 함량이 높아 기존에는 고온·고압 환경에서만 연료로 전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부산물이 발생해 항공유 생산에 활용하기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복잡한 공정 없이도 상온·상압에서 리그닌 오일을 안정적으로 반응시킬 수 있는 전기화학 기술을 개발했다. 그 결과, 실제 자연에서 얻은 복잡한 구조의 리그닌 오일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반응 효율을 높였다.
특히 리그닌 오일이 전기화학 반응에서 더 잘 작동하도록 물질의 성질을 조절해 기존 10% 수준에 머물렀던 전류 효율과 선택도를 60% 이상 높였고, 전환율은 98%에 달하는 성과를 얻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 고도화된다면 지속가능한 항공연료의 생산 단가를 낮추고 공정을 단순화해 비용 부담과 복잡한 생산 과정으로 SAF 도입을 주저하던 항공업계에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웅희 KIST 박사는 “폐자원을 친환경 항공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적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향후 전기화학 기술을 이용한 SAF 생산을 위한 기술 발전의 나침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