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데스크의 눈]새마을금고의 씁쓸한 회갑연

권소현 기자I 2023.06.13 20:14:40
[이데일리 권소현 마켓in 센터장]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은 새마을금고. 나이로 따지면 환갑이다. 지금이야 평균 수명이 길어져 환갑에 크게 의미를 두지는 않지만, 한국의 평균 수명이 짧았던 시기에 환갑은 장수의 상징이었다. 그래서 자손들과 일가친척들이 모여 요란뻑적지근하게 축하연을 열었다.

1963년 계묘년에 경상남도 시골 마을에서 시작된 새마을금고도 육십갑자를 돌아 다시 계묘년을 맞았으니 분명 축하할 만하다. 한국 금융 역사 60년을 돌아보면 더욱 그렇다. IMF 외환위기를 비롯해 카드사태, 저축은행사태 등을 겪으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진 금융사가 한둘이 아니다. 이 과정에서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되기도 했다. 신협, 수협, 농협 등 상호금융도 외환위기나 금융위기에 공적자금의 도움을 받았다. 하지만 새마을금고는 공적자금 없이도 60년을 버텨냈다. 조합원 대상 가계대출에 집중하면서 리스크를 관리해온 덕이다.

자신감이 과했던 걸까. 공격적으로 늘린 부동산 PF는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른 부동산 시장 냉각에 부실화하고 있다. 4% 안팎이었던 새마을금고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 1월 9.23%까지 치솟았다. 시장 상황에 따른 대처도 늦었다.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로 자금시장이 꽁꽁 얼어붙고 PF 부실 우려가 커지자 농협과 신협중앙회는 곧바로 신규 공동대출을 중단했지만, 새마을금고는 올해 4월 말에야 가계 대출을 제외한 공동대출을 제한했다.

자본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대두하면서 새마을금고에 대한 고객의 신뢰는 떨어졌다. 실리콘밸리뱅크(SVB) 파산으로 불안감이 높았던 지난 3월 농협, 수협, 신협 등 다른 상호금융 고객은 동요하지 않았지만 유일하게 새마을금고 수신잔액만 전월대비 3조원 가량 줄었다.

더 뼈아픈 부분은 비위가 동시다발적으로 터졌다는 점이다. 부동산 PF 수수료 불법 지급 혐의로 새마을금고 직원이 구속된데 이어 대체투자와 관련해 담당 팀장이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의혹으로 구속됐다.

대체투자 시장에서 새마을금고의 위상은 최근 1~2년 새 상당히 높아졌다. 기관투자자들로부터 펀딩을 받기 쉽지 않은 신생, 중견 사모펀드 운용사들에게 거액을 척척 베팅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보수적이었던 새마을금고가 대체투자를 적극 확대하면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수익률을 높인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지난해 국민연금이 8%대 손실을 낸 데 비해 새마을금고가 운용수익률 0.61%로 선방한 데에는 대체투자 비중을 30% 중반대까지 늘린 게 주효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대체투자 수익은 1조3000억원에 달했고 PEF 관련 투자수익률은 8%를 넘었다. 새마을금고가 부동산 PF와 사모펀드 시장에 자금을 공급해오면서 시장 발전에 일조한 면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불법적인 행위가 있었다면 결과가 좋아도 정당화될 수 없다. 검찰 수사의 칼날이 새마을금고가 투자한 사모펀드나 자산운용사들로 향하면서 자본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올해 새마을금고의 회갑연은 조촐했다. 지난달 25일 열린 창립 60주년 행사는 내부행사로 조용히 치러졌다. 10년 전인 50주년 행사를 서울 잠실 올림픽주경기장에서 임직원 3만5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대적으로 열었던 것과 대조적이다. 금융사의 가장 큰 자산은 바로 신뢰다. 신뢰 회복을 위해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야 10년 후 고희연을 성대하게 열 수 있을 것이다.

끝나지 않은 새마을금고 사태

- 새마을금고 "중앙회장 4년 단임제·전문경영인 도입 검토" - 새마을금고 경영혁신위, 13일 지배구조 혁신 세미나 - [현장에서]'새마을금고 메시지' 전략 수정해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