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태안 갯벌서 조선 왕실 기와 추가 발견…"온전한 형태 처음 확인"

이윤정 기자I 2022.06.29 16:34:14

새롭게 발견된 취두 상단·검파 공개
"조선 마루 장식기와 연구에 중요한 자료"
갯벌에 박혀 있어 600년 넘게 보존
해양연구소, 추가 발굴조사 진행 예정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2019년 9월 충남 태안군 청포대 갯벌에서 조개를 캐던 한 중년 남성은 급히 해양경찰대에 신고 전화를 걸었다. 썰물로 드러난 갯벌 해변에서 조개를 캐다 호미날에 묵직한 덩어리가 걸렸던 것이다. 그가 우연히 찾은 것은 왕실 건축에서 쓰던 용머리 장식기와(취두)의 깨진 하단 부분이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후 추가 발굴 조사에 나서 반경 20m 내 갯벌에서 지난 5월 용머리 장식기와의 나머지 상단을 찾아냈다. 앞서 지난해 6월에는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의 장식품인 검파와 함께 상·하단이 모두 갖춰진 다른 취두 유물을 발굴했다. 두 취두는 쌍을 이루는 것으로, 조선 시대 왕실 건축물의 지붕을 장식하던 용머리 장식기와의 온전한 형태가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태안해양유물전시관이 29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태안 청포대 갯벌 출토 조선 왕실 관련 용머리 장식기와를 공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언론공개회에서 새롭게 발견된 취두 상단과 검파를 공개했다. 조선 전기 검파의 발견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동훈 연구관은 “검파가 발견되면서 건물 용마루에 올라가는 취두가 온전한 모습을 찾았다”며 “조선시대 왕실 마루장식기와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마루장식 기와는 삼국시대에서 고려 후기까지는 새꼬리 모양의 치미를 사용하다가 고려 말부터 용머리 모양의 취두 형태가 등장했다. 조선 후기의 취두는 많이 남아 있지만, 조선 전기의 취두는 양주 회암사지 등에서 파편 상태로만 나와있는 게 전부였다.

발굴된 취두는 왕실용인만큼 무늬가 정교하다. 하단은 용의 머리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고 취두 상단에는 작은 용이 새겨져 있다. 상하단을 합치면 길이 103㎝, 무게는 120㎏이나 된다. 취두는 용마루가 밀려나지 않게 잡아주면서 동시에 왕실의 권위를 보여주는 장식효과, 사악한 기운을 쫓는 벽사의 기능을 한다. 검파는 40.5㎝ 길이의 칼 손잡이 모양의 장식품이다.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가 표현돼 있다. 검파는 빗물이 취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됐다.

취두는 서울의 용산구 일대에서 만들어져 다른 지역으로 수송되던 중 선박이 침몰하면서 갯벌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취두와 검파는 갯벌에 박혀 있었기 때문에 화재 등으로 소실되지 않고 600년 넘게 온전하게 보존될 수 있었다. 연구소는 8월까지 해당 지역에서 추가 발굴조사와 수중탐사를 진행해 다른 유물이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취두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토제 장식품인 ‘검파’(사진=문화재청).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