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 광화문 버텍스코리아에서 열린 ‘관광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과 성장을 위한 세미나-ROAD TO GLOBAL’에서 임형택 선문대학교 글로벌관광학과 교수는 ‘관광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전략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서 임 교수는 관광 스타트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불필요한 규제 완화 ▲글로벌 기준에 맞는 기술 인프라 구축 ▲스타트업에 맞는 투자 생태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임 교수는 “국내 관광 스타트업들이 아무리 참신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어도 지금의 규제와 제도 아래에선 성장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플랫폼이나 앱을 운영하려 해도 기존 ‘여행사 등록’ 기준이 너무 복잡하고 불필요하게 까다롭다는 것이다. 특히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예약이나 결제 시스템은 관련 규정이 불명확해 기술적으로 연동이 어렵다는 것이다.
임 교수는 “요즘 관광은 앱 하나로 전 세계 어디든 예약하고 결제하는 시대”라면서 “국내 스타트업은 아직도 ‘종이 신청서’ 같은 구조에 묶여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임 교수는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여행할 때 느끼는 대표적인 불편 두 가지를 꼽았다. 바로 ▲지도 정보 부족 ▲글로벌 결제시스템의 부재다. 그는 “구글 지도에서 한국 관광지를 검색해보면, 위치가 틀리거나 아예 나오지 않는 경우도 많아 길을 잃기 쉽다”면서 “또 외국인이 한국 스타트업 앱에서 결제하려 해도, 인증이나 카드 문제로 실패하는 경우도 많다”고 강조했다.
이런 기술 인프라의 부족은 결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확장에 큰 걸림돌이 된다는 임 교수는 “이 문제는 스타트업이 혼자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지원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한국 스타트업, 잠재력은 충분하다”
임 교수는 발표에서 홍콩의 클룩(Klook), 독일의 겟유어가이드(GetYourGuide), 한국의 마이리얼트립, 트립비토즈 등의 성공 사례도 소개했다. 이들 기업의 공통점은 현지화된 콘텐츠, 글로벌 결제·예약 시스템, 그리고 로컬 파트너와의 협력이었다. 임 교수는 “한국 스타트업도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며, “문제는 이들이 국내에서 자라날 수 있는 제도적 토양이 없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정부와 기업 모두에게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에는 ▲관광 R&D 결과물의 상용화 지원 ▲관광 스타트업 전용 센터 설치 ▲외국인 결제 관련 규제 정비 등을 제안했고, 기업에는 ▲스타트업을 외주업체가 아닌 ‘공동 기획 파트너’로 인정할 것과 ▲스타트업과 협업해 해외 진출 브랜드를 만들 것 등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임 교수는 “관광 스타트업은 이제 관광객의 경험을 설계하고 국가 이미지를 만드는 중요한 존재”라며 “이들을 위한 법, 제도, 투자환경이 제대로 갖춰져야 한국 관광이 세계에서 경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스타트업을 행사에 초대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진짜로 키우고 세계로 나가게 도와줘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