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제2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9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K-뉴딜 글로벌화 전략’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밝혔디.
정부는 그린에너지, 그린모빌리티, 물산업 등 그린뉴딜 분야에서 해외수주를 2019년 15GW에서 2025년 30GW로 두 배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4대 전략시장별로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민관 합동으로 총력지원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미국, EU 등 선진 성숙시장에서는 탄소중립을 위해 재생에너지, 전기·수소차 등 투자 확대 기조 속에서 공동 연구개발(R&D)·투자 등 협력 확대, 민자발전 활용 수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동남아, 중남미 등 신흥 성장시장에서는 전력수요 증가, 풍부한 자원 등으로 시장성장 가능성이 큰 만큼 그린뉴딜 ODA 연계, 다자개발은행(MDB) 활용 등을 통한 진출 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등 분산전원 유망시장에서는 ESS를 연계한 소규모 도서지역의 독립계통형 시장 형성을 통해 ‘신재생+계통설비 패키지형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사우디, UAE 등 에너지 다각화시장에서는 풍부한 태양광 등 중심으로 한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태양광 연계 담수화 관련 설비 진출과 R&D협력 등을 통한 시장 공략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해외수주지원협의회’에 민관합동 ‘그린뉴딜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유망 프로젝트 선정과 금융조달 등 ‘원스톱 솔루션’을 지원하기로 했다. 4대 주요시장 재외공관과 미국, 베트남, 칠레 등 3개국 ‘그린뉴딜 수주지원 센터’ 설치를 통해 진출기업 애로해소와 통합지원 제공 등도 추진한다.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제도도 개편한다. 예타 조사 기간을 현행 4개월에서 2개월로 단축하고, 공공성 평가 비중을 35%에서 40%로 늘려 원활한 수주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1030억원 규모의 글로벌 인프라 펀드(GIF) 7호를 활용한 유망 프로젝트 투자 확대와 신규 그린뉴딜 전용 투자펀드 조성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이에 더해 신용도가 낮은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사업성 평가수수료를 50% 감면해주는 등 해외사업 공동보증제도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의 참여도가 높은 공적개발원조(ODA) 가운데 그린뉴딜 ODA 비중을 현재 6.4%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인 22.7%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개도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ODA 후속 사업을 수주하려고 할 경우 타당성 조사 지원 제도도 신설한다. 유망국내 ‘그린 K-스타트업 센터’를 설치해 스타트업 현지진출지원, 수출컨설팅·물류비·해외인증 등 그린 중소벤처기업을 우대 지원하기로 했다.
주요국간 민간 주도 ‘글로벌 H2 얼라이언스’ 신설을 통해 정보·데이터 공유, 공동R&D·실증, 대 정부 정책제언 등 수소협력을 확대한다. ‘글로벌 H2 얼라이언스’와 기존 정부 간 협의체(IPHE, CEM H2I 등) 간 연계를 통해 공동프로젝트 추진 등 민관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