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의원은 “(이번 논란과 관련해 대통령실) 내부에서도 의아해하고 있다”며 “수영장 물을 완전히 교체하지 않으면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을 정도로 많은 양의 물이어서 내부에 있는 대통령실 직원들을 취재해 봤는데 자신들도 이해가 안 된다고 했다”고 말했다.
다만 윤 의원은 해당 수영장이 윤 전 대통령 내외가 전용으로 이용하는 시설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앞서 대통령실이 한남동 관저 상수도 사용량을 청와대와 비교하며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해명한 것에 대해 윤 의원은 “상식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대통령실이 과거 청와대에서는 하루 40~50톤의 수돗물을 썼다고 했는데, 청와대와 한남동 관저는 규모가 다르다”며 “청와대는 건물도 많고 관리해야 할 수목도 훨씬 많았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이를 밝히기 위해 부처에 자료 요청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행안부 관계자가 ‘대통령은 없지만 한남동 관저는 가급 보안시설이다. 그래서 자료를 못 내놓겠다’라고 말했다”며 “비공식적으로는 저희한테 ‘정권 교체해서 보라’고 했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김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아리수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지난 4~10일 일주일 동안 관저에 머물며 228.36t의 수돗물을 사용했다.
이는 일반 2인 가구 일주일 평균 사용량의 약 75배에 달하는 규모로 수도 요금은 74만 6,240원이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 관저에서 사용한 수도 요금 등 공공요금은 별도의 청구가 없는 한 전액 세금으로 부담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