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10일 개최한 ‘임기 마무리 소회’ 기자간담회에서 전한 말이다. “온실 속 화초로 자란 야당이 아니라 거센 모래벌판 엄동설한에 내버려진 들개처럼 문재인 정권과 맞서 싸울 수밖에 없다”는 1년 전 취임 일성처럼 자신의 임기 내내 이어갔던 대여(對與) 투쟁과 ‘야당다운 야당’ 정신을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이다.
임기 종료를 하루 앞둔 김 원내대표는 “끊임없이 싸우는 야당으로 체질을 변모해 나가는 게 많이 힘들었다”며 “하지만 1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국당 의원들이 제1야당 전사로서 각자 전문성을 가지고 상임위에서 역할을 다하는 것에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다음날 새로 선출될 차기 원내지도부에도 ‘투쟁력’을 주문했다. 그는 “대화와 타협으로 여야 관계가 잘 정리되고 실질적인 협력관계가 형성됐으면 좋겠다”면서도 “그래도 야당은 잘 싸워야 한다. 잘 싸울 수 있는 처절한 진정성이 자신의 몸에 또 뇌리 속에 박히지 않고는 제대로 된 야당의 모습은 나오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신의 성과로는 당의 체질 개선을 꼽았다.
김 원내대표는 “여전히 우리가 가장 크게 싸울 대상은 우리 자신이라는 점을 끝내 잊어서는 안 된다”며 “1년 동안 더 이상 우리가 기득권정당·웰빙정당·가진 자의 정당·금수저 정당·수구보수 정당이 아니라 혁신과 쇄신을 하는 참된 보수 정당·서민과 함께하는 선도적 사회개혁 정당·사회적 합리성과 형평성을 존중하는 공화주의 정당으로 발돋움하도록 미력하나마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였다”고 자평했다.
김 원내대표는 자신의 제1 협상 파트너이자 지난 19대 국회에서부터 환경노동위원회 간사로 호흡을 맞춰온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 대한 애증(愛憎)의 감정도 나타냈다.
김 원내대표는 “우리 홍 원내대표가 잘 인내하고 그런 가운데 또 (예산처리 정국에서) 더불어한국당이 만들어졌다”며 “집권당 원내대표는 청와대 입장도 있고, 정부 입장도 있고, 집권당 의원 입장도 있어서 제일 어려운 자리. 거기에 거칠고 거센 제1야당 원내대표를 만났으니 오죽 힘들었겠느냐”고 너스레를 떨었다.
김 원내대표는 자신의 최대 성과물 중 하나인 단식을 통한 드루킹 특별검사 관철 과정에 대한 소회도 밝혔다.
그는 “극한투쟁의 절정에 달한 드루킹 특검 관련 단식은 일방독주하는 정권에 맞서 야당이 취한 마지막 수단”이라며 “드루킹 특검 관철을 내딛기 위해 단식을 시작한 지 4일째인가 한 청년으로부터 (안면을 폭행당하는) 아픔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잊을 수 없는 장면 중 하나가 그 아픈 일이 있고 난 그날 밤부터 (저를 폭행한) 청년 부모님이 가까이 오시지도 못하고 밤을 새웠단 얘기를 듣고 천막 안에서 그 부모님 뵀을 때”라며 “자식 키우는 부모로서 100번 이해한다고 했고 그런 일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고 했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차기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제 역량과 능력이 부족한 면이 많다. 차분하게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겠다”며 즉답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