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토지·건물 실거래가앱 밸류맵이 조사·분석한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약 4개월간 기업형 기획부동산이 매매한 토지 거래건수는 약 1만164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토지 실거래 신고건수( 18만1369건) 대비 약 6.4%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밸류맵은 전국 기획부동산 거래 현황을 처음 분석한 지난해 7월~10월(1만4529건, 8.1%)대비 일부 감소했지만, 총 거래액이 여전히 3000억원이 넘는 등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3기신도시 및 GTX, 남북경협 등 개발 호재가 많은 경기도의 기획부동산 추정 거래건수가 7393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는 경기도 토지 거래량(4만3764건) 대비 16.9%로 전국 평균 대비 3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세종자치시의 경우 토지 총거래량(2619건) 대비 51.8%에 달하는 802건이 기획부동산 거래 물건으로 추정됐다. 이외에 충청남도(930건), 강원도(700건), 인천(547건) 순의로 거래 건수가 많았다.
기업형 기획부동산은 개발호재가 많은 지역 인근의 그린벨트나 보존관리지역 임야 등을 여러 회사명의를 동원해 공동구매 한 후 텔레마케팅 및 블로그 영업 등으로 투자자를 모집하는 경우가 많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자가 관심을 보이면 확보금, 혹은 입찰금이라는 형태로 총금액의 10%를 우선 입금하게 한 후 이후 직원들을 파견해 계약서를 작성하는 방식 등을 사용한다”며 “이 과정에서 단기 계약직을 대량 채용해 직원에게 우선 지분 매매를 하는 등 다단계식 영업 방식도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런 영업방식이 거짓 홍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기획부동산이 파는 지분은 차후 매매가 가능하며 혹 매매가 안 될 경우 자사가 다시 되사줄 것 등으로 홍보를 하고 있지만, 지분 판매 당시 이미 매입가의 4~5배 이상의 고가로 매각이 이뤄진 경우가 많다. 또 수백명의 지분권자들이 나눠져 있어 토지 이용이 현저하게 제한되며, 법인명을 수시로 변경하거나 휴폐업 및 신규법인 개설 등을 반복해 1~2년이 지나면 매각한 법인을 찾을 수 없을 수 있다고 밸류맵은 지적했다.
이창동 밸류맵 리서치팀장은 “올 1분기 기준 지분거래가 급증하고 있는 15곳을 기회부동산 주의 지역으로 지정했다”며 “향후 매분기별로 주의 지역을 추가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