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소재 분야 벤처들 "3~4년 내 국산화 가능"

권오석 기자I 2019.08.05 14:51:46

벤처기업협회, 5일 '일본 수출 규제로 인한 현장 체감도 조사' 발표
반도체 소재 3개 품목 관련 14개 기업 42% "3~4년 내 국산화 가능"

(사진=벤처기업협회)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해 국내 벤처기업의 80% 이상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내다봤다. 아울러 반도체 관련 3개 품목과 관련한 기업의 절반 정도는 소재분야의 국산화 가능 여부에 대해 3~4년 내 가능하다고 답했다. 벤처기업협회(이하 협회)가 최근 10년간 벤처확인(2011년 말 ~ 2019년 6월)기업 335개사의 대표 및 임원을 대상으로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한 현장 체감도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협회는 수출규제 3개 품목(불화수소, 레지스트, 불화 폴리이미드 등 14개사) 관련 기업을 비롯해 화이트리스트 제외 추가 규제 관련 기업(48개사), 향후 각국의 무역규제 관련 기업(243개사) 등 설문을 총 3개 부문으로 나눠 조사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3개 품목 관련 기업들 “3~4년 내 국산화 가능”

먼저 반도체 관련 3개 품목과 관련한 기업 14개사의 경우, 일본의 수출규제가 해당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85.7%였다.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14.3%로 나타났다. 해당품목의 수출규제가 지속될 경우 기업이 감내가 가능한 최대 기간은 6개월(38.5%)이라고 했다. 해당품목의 수출규제에 대한 기업의 대응책으로는 ‘수입선 다변화’가 3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이 정부에 희망하는 대응책으로는 제조 및 기술벤처 육성을 위한 투자 및 자금지원이 4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대상이 된 3개 품목을 포함해 향후 추가적인 규제 확대가 예상되는 소재분야의 국산화 가능 여부에 대해선 △3~4년내 국산화 가능(42.9%) △1~2년 내 가능(35.7%) △5~10년 내(14.3%) 순으로 답변했다.

◇화이트리스트 제외 기업, 감내 가능 기간 최대 6개월

다음으로 화이트리스트 제외와 관련한 기업 48개사의 경우, 화이트리스트 제외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81.3%였다. 반면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12.5%로 나타났다. 기업 스스로 감내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정부의 도움이 있어야 가능하다’(62.5%)와 ‘스스로 가능하다’(25.0%)순이었다. 감내가 가능한 최대 기간에는 6개월(38.5%)이 가장 높았다.

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한 기업의 대응책으로도 ‘수입선 다변화’가 3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신제품 개발(25.4%)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 확대(21.1%) 등의 순이었다. 정부에 희망하는 대응책으로는 ‘제조 및 기술벤처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R&D 적극 지원’이 3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제조 및 기술벤처 육성을 위한 투자 및 자금지원’(33.7%), ‘경영안정자금 및 세제 징수 유예 등 지원’(15.7%) 등이 있었다.

◇안건준 회장 “전화위복 계기 삼아야”

무역규제가 다양한 업종·분야로 확대된다고 가정할 시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다고 응답한 243개사 중 91.3%는 무역규제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일 거라고 답변했다. 이들이 스스로 감내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정부의 도움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답변이 66.8%로 가장 높았다. ‘스스로 가능하다’(24.6%) 및 ‘정부의 도움이 있어도 불가능하다’(8.6%)는 답변도 있었다.

이들 기업이 감내 가능 최대 기간은 ‘6개월’이 40.1%로 가장 높았다. 대응책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33.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수출·수입선 다변화’(31.7%), ‘비즈니스 파트너와 협업 강화’(15.8%) 등의 순이었다.

이번 설문 조사에 대해 안건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이번 수출규제가 단기적으로 관련 기업에게 위기임이 분명하나,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기술력 및 혁신역량을 보유한 벤처기업을 육성해 핵심소재 국산화를 이뤄내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