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산독식 바이오 소부장]⑤오기환 바이오협회 전무 “소부장 국산화, 수요기업 협력이 절실”

김진호 기자I 2021.12.21 16:04:08

바이오소부장연대협력협의체 발족한 지 1년
셀트리온-이셀 간 3년간 납품 계약 체결 등 성과
“코로나19로 수요-공급 기업 간 대면 만남 적었던 것 아쉬워”국산 제품으로 변경 시 생산력 저하, 추가 인허가 절차 등 부담 커
소부장 국산화, 해외 시장 공략 등 모두 수요기업의 참여 의지가 관건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수입길이 막히자 바이오 의약품 생산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국내 기업들이 의약품 생산에 쓰는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를 위해 잰걸음을 내고 있다. 하지만, 기술력과 생산력 등에 있어 아직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다.

이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바이오협회 등이 주도해 바이오 소부장 관련 수요와 공급기업이 두루 참여하는 민관협의체 ‘바이오소부장연대협력협의체(소부장연대협의체)’가 발족했다. 여기에는 현재 대표적인 바이오 소부장 수요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셀트리온(068270)부터 아미코젠(092040), 이셀 등 공급기업까지 총 56곳이 참여하고 있다.

소부장연대협의체가 발족한 지 1년이 조금 넘은 시점에서 이를 지켜본 오기환 한국바이오협회 전무에게 진행 상황과 성과, 보완점 등을 들어봤다. 그는 “일부 성과가 이어지고 있지만, 이를 확대하기 위해선 바이오 소부장 수요 업체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바이오소부장연대협력협의체의 1년여 간의 성과와 한계점 등을 설명한 오기환 한국바이오협회 전무(제공=한국바이오협회)


다음은 오 전무와의 일문일답.

-전체 바이오 소부장의 국산화 비중이 10% 수준이다. 그 이유는?

△ 수요기업 입장에서는 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정에 필요한 소부장 변경에 따른 안전성과 유효성에 미칠 수 있는 리스크(위험), 추가적인 인허가 절차 등 부담이 크다. 이를테면 배지는 A사, 여과막은 B사 등 수십 가지 제품을 쓰고 있는 것 중에서 단순히 하나만 교체한다는 개념이 아니다. 하나의 소부장 교체가 전체적인 생산공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까지 생각해야 한다. 결국 본격적인 소부장의 국산화를 위해서는 공급기업의 만든 제품의 품질 이상으로 수요기업의 교체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

-약 1년간 운영한 소부장연대협의체가 이뤄낸 성과가 있다면.

△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간 협력사례가 나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지난 6월 수요기업인 셀트리온과 공급기업인 이셀(Ecell)이 처음으로 일회용 백 등 배양공정에 필요한 소모품을 3년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최근 지씨셀(144510)도 제조 과정 중 진행하는 품질검사에 필요한 미생물 검출기인 마이코플라즈마 분석기를 국내 셀세이프(cells-safe) 제품으로 변경하고자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변경 승인을 신청했다. 최종 확정시 양사 간 공급계약이 체결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까지 가장 아쉬웠던 점은.

△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제품 변경을 위한 수요기업의 판단과 결정에 도움을 주려면 공급업체와 자주 만나야 한다. 제품을 개발하는 단계부터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실증테스트까지 여러 작업에 대한 논의를 수시로 병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대면 회의 기회가 많아야 하지만, 코로나19로 그렇게 하지 못했다. 온라인 회의로도 진행해 봤으나 아무래도 상호 소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소부장 국산화율을 늘리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나

△코로나19로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해지면서 국산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됐다. 그런 만큼 수요기업이 국산화 제품 사용 의지를 갖고 공급기업과 품질기준을 맞추기 위한 테스트베드로서 역할을 해줄 필요가 있다. 규제기관에 변경승인 절차까지 제때 이뤄진다면 국내 시장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물론 모든 과정이 쉽게 되는 일은 아니다.

-더 멀리 국산 바이오 소부장 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은?

△ 국내 현장에서 제품을 쓰면서 데이터를 확보해야 해외 인허가 절차 등을 밟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좋은 제품이 나와도 글로벌 시장 진출은 단기간에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수요와 공급 기업 간 지속적인 소통과 네트워킹을 통해 국내 트랙 레코드(추적기록)를 쌓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소부장연대협의체를 더 활성화해야한다. 이와 함께 국내 소부장 제품에 대한 기술개발, 세제 혜택 확대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특허 분석, 각국의 인허가 제도 등에 대한 전문가 자문이나 정보를 수시로 제공, 적극 지원해 나가야 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