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미국에서 팔린 신차는 총 147만4360만대로 지난 해 같은 달보다 3% 줄었다. 올 들어 6개월 연속 감소세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전년 동월대비 2.1% 줄어든 845만2453대의 차량이 판매됐다. 미국에서 상반기 판매가 줄어든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8년 만에 처음이다. 고급차 브랜드도 예외는 아니었다. BMW 3시리즈와 4시리즈 판매량이 지난 해 24% 급감한데 이어 올해도 8% 줄어들었다. i3 모델의 경우 3000대도 팔지 못했는데 2년 전 판매량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성적이다. 벤츠의 경우 미국 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높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올 상반기 SUV 판매량이 2.3% 감소했다. 특히 CLA 모델 판매량은 무려 37%나 줄었다.
미국의 자동차 판매량은 지난 해까지 7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꾸준히 회복했다. 특히 지난 2년 동안에는 판매량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호조세를 보였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 이후 둔화세를 보이다가 올해 들어서는 계속 뒷걸음질치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동차 대출금리 부담이 커진데다, 우버 등과 같은 차량 공유서비스가 확대된 것이 신차 판매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 작년 판매량이 워낙 좋았던 탓에 기저효과에 따른 착시도 영향을 끼쳤다.
문제는 자동차 판매량 감소세가 업계 일자리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해 자동차 공장의 근로자수는 21만1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와 비교하면 55% 늘어난 규모다. 하지만 이는 올 들어 2% 이상 줄어들어 지난 4월에는 20만6000명을 기록했다. 컨설팅 회사 올리버와이먼의 전문가 론 하버는 “지난 6개월 동안 자동차 공장들의 생산량은 계속 감소했다”면서 “앞으로 남은 6개월 동안 더 깜짝 놀날 일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일자리 확대를 강조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자동차 생산업체들의 일자리 확대·유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수가 줄어든 것이어서, 미 자동차 업계가 얼마나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고 NYT는 전했다. 업계와 시장에서는 지난 해 판매량이 정점을 찍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척 스티븐스 제너럴모터스(GM)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여서 올해 자동차 판매량은 1700만대를 밑돌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줄어들고 있어서 결국 일자리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NYT의 우려했다. SUV와 트럭의 인기로 자동차 기업들의 마진이 늘었지만 전체 판매량이 감소하면 업계 전반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일자리를 약속했던 미 자동차 기업 GM과 포드조차 판매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소형차 생산라인을 중국 등 해외로 옮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