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맨' 트럼프 등장에 한국 수출 보릿고개 우려 고조

김형욱 기자I 2025.01.20 17:44:41

美 관세 압력에 대미 수출·투자 위축 가능성
KIEP "최악 땐 수출 448억달러 줄어들 수도"
대미 수출길 막힌 중국발 공급 과잉 우려도
경험 쌓인 정부 7천억달러 수출 기대하지만,
대행 체제 한계…"관계부처 중심 대응 필요"

[이데일리 김형욱 하상렬 강신우 김은비 기자] ‘관세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돼 온 수출에도 보릿고개가 오리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한국시간 21일 새벽) 취임식과 함께 100건에 이르는 행정명령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와 주요 기업은 트럼프 대통령의 입에서 어떤 행정명령이 나오기 시작할지 예의 주시하며 마지막 대응 체제 점검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9월6월 미국 뉴욕 트럼프 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야기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늘어난 대미 흑자에…타깃 될 가능성 커져

가장 직접적인 우려는 대(對)미국 수출·투자 위축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미국에 전년대비 10.5% 늘어난 1278억달러(약 185조원)어치의 상품을 팔아치우며 7년 연속 역대 최대 신기록을 이어갔다. 무역수지 흑자 규모도 557억달러로 4년 새 3배 이상 불었다.

그만큼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압력 타깃이 될 가능성은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기간부터 당선 이후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를 상대로 10~20% 수준의 보편관세 부과와 60%의 대중국 관세,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계획을 언급한 바 있다. 실제 관세 부과 방식과 속도에는 여러 관측이 있지만, 1기 정부 때 이상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을 펼치리란 전망에는 이론이 없다. 또 한국은 미국 관점에서 중국-멕시코-베트남-독일 등에 이은 8번째 무역수지 적자국이고, 최근 그 규모가 빠르게 커졌다는 점에서 최우선 타깃은 아니더라도 차순위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지난해 12월 트럼프 신정부가 예고한 관세 정책을 시행한한다면, 우리의 대미(對美)수출이 9~13%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우리 수출이 연 120억~150억달러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최악 시나리오 땐 우리 전체 수출액이 448억달러(약 65조원)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더 나아가 미국발 자국 우선주의 심화로 글로벌 무역 자체가 위축할 우려가 있다. 특히 미국의 대중국 압력 강화는, 대미 수출길이 막힌 중국 상품이 제삼지대에서 우리 상품과 경쟁하며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이어질 수 있다.

허윤 서강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대미 수출에 제약이 걸린) 중국은 우회 수출에 나설 것이고 우리로선 힘든 상황이 될 것”이라며 “최근 국내에서도 ‘알테쉬(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제품이 쏟아지고 있고 BYD 전기차가 등장한 것도 정부가 경각심을 갖고 정책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 대응 만반 준비했지만…대행 체제 ‘핸디캡’

정부도 만반의 채비는 해뒀다. 통상당국은 트럼프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과 함께 상황·업종별 대응 시나리오 마련에 나섰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달 6일 첫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이를 최종 점검했다.

그럼에도 올 상반기까지는 우리 수출이 주춤할 전망이다. 당장 1월 수출은 앞당겨진 설 연휴와 임시공휴일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로 월간 수출액이 16개월 만에 전년대비 줄어드는 게 확실시되는 가운데, 이 같은 수출 둔화가 1분기, 길게는 상반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 정부가 올 한해 역대 최대규모인 360조원 규모의 무역금융 지원과 수출 마케팅 지원 계획을 세우고 상반기 중 최대한 집행키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그러나 올 하반기 중 회복을 시작해 올해 연간으론 지난해보다 2.3% 이상 늘어난 7000억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상 당국 내부에선 자신감도 엿보인다. 8년 전 예측할 수 없었던 트럼프 1기 정부 출범 때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등 현안을 성공적으로 해낸 경험이 쌓였기 때문이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협상 전략이기에 당장 보여줄 순 없지만 모든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방안을 준비해 놨다”며 “여러 불확실성이 있지만 올해 사상 처음으로 7000억달러 이상을 수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기보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도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식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높아진다면, 정부 목표 달성도 가능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 대통령 대행 체제로 트럼프 신정부에 얼마만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 간 대화를 선호한다는 점에서 한국은 ‘핸디캡’을 안을 수밖에 없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비롯한 주요국 정상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통화하고 회담 추진에 나선 것과 대조적으로, 최 대행은 아직 전화 통화도 하지 못했다.

허 교수는 “최 대행 체제로 정상 외교를 펼치기엔 불확실성이 크다”며 “정부 내 충분한 논의를 토대로 외교·통상·안보 장관을 중심으로 한·미 협력 체제 구축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트럼프 2기

-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트럼프, 영토 확장주의 우주로 - 트럼프, 바이든 'AI 행정명령'도 폐기…빅테크 투심 살아나나[트럼프 취임] - "트럼프 신정부 대중 통제 강화할 것…모든 시나리오 대비해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