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사 결과, 응답한 대학 총장들 중 77.1%는 대학 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재정 지원 사업 확대’를 꼽았다. 이는 17년째 이어지고 있는 등록금 동결과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들이 재정난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62.9%는 신입생 모집과 충원을 대학 운영의 또 다른 중요한 과제로 언급했다. 대교협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와 등록금 동결이 장기화되면서 대학들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향후 재정 상황에 대한 전망도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대학 중 75%에 해당하는 105개교가 향후 5년간 재정 상황이 악화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 중 61개교는 현재보다 ‘조금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44개교는 ‘매우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은 27개교(19.3%)에 불과했으며, 재정 상황이 ‘안정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은 대학은 단 8개교(5.7%)에 그쳤다.
재정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물가 상승으로 인한 관리 운영비 증가’가 지목됐다. 이 문제를 재정 악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꼽은 응답자는 91개교로 전체의 86.7%에 달했다. 특히 국공립 대학은 81.8%가 재정 상황이 악화될 것이라고 답해 사립 대학(72.9%)보다 더 큰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대학의 응답률이 77.8%로 수도권 대학(68.5%)보다 높았고, 규모별로는 소규모 대학이 76.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대학 총장들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응답 대학 중 43개교는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 연장을 통한 안정적 재정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제안했다. 이어 39개교는 과감한 자율성 부여와 규제 완화를 요구했으며, 20개교는 지역별 및 규모별 맞춤형 특성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에서는 디지털 혁신과 학생 중심 투자도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 하이브리드 교수학습 시스템 등 온라인 교육 환경 개선이 60.0%로 가장 중요한 디지털 혁신 과제로 선정됐다. 취업·창업 지원 같은 학생 중심 투자도 같은 비율로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러한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예산 확보’가 꼽혔다.
대교협은 이번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회원대학의 목소리를 정부 정책에 반영하고 고등교육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대교협 관계자는 “총장들의 의견을 수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정책 건의 등에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