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대학가에 따르면, 최근 40곳 의대 모두가 3월 말까지 등록 마감 기한을 설정했다. 이달 말은 교육부·대학이 의대생들에게 제시한 복귀 시한이다.
지난 21일 경북대·고려대·연세대를 시작으로 24일에는 건양대·전남대가 복귀신청을 마감했다. 오는 27일에는 서울대·이화여대·부산대·제주대 등이 등록·복학 신청을 마감하고, 가톨릭대·경희대·인하대·조선대·충남대·강원대 등은 28일에, 을지대는 30일, 아주대·충북대·한양대·단국대·건국대 등은 31일에 복귀 신청을 마무리한다.
일부 대학이 복학원을 접수받는 가운데 마감 기한이 끝난 학교는 미복귀 의대생들에 대한 제적 예정 통보 절차를 밟고 있다. 미등록 학생을 대상으로 문자메시지·이메일·우편 등을 통해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는 등 제적 절차에 돌입한 것이다. 앞서 연세대와 고려대는 24일 미등록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했다. 연세대(서울)는 21일까지였던 등록 마감 시한까지 등록하지 않은 의대생 398명에게 우편으로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체 연세대 의대생(881명)의 45.2% 수준이다. 고려대는 30%가량이 제적 예정 통지 대상이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남대는 미등록·미복학 의대생 650명에 대해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할 방침이다.
|
단일대오를 유지하며 복귀하지 않겠다던 의대생들 사이에서도 균열이 감지되고 있다. 재학생들이 자유롭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공개 입장문이 처음으로 나온 것이다. 같은 날 고려대 의대 전 학생대표 5명이 개별 의대생들의 복귀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는 취지의 실명 입장문을 냈다. 이들은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충분히 보장받아야 한다”며 “현 사태가 1년 넘게 지속되며 리스트 공유, 무분별한 마녀사냥, 서로에 대한 비난과 감시 등이 이어지는 동안 학우들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로를 감시하고 비난하는 것은 이 사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서로에 대한 불신과 적대가 깊어질수록 학생 사회는 붕괴하고 궁극적인 사태 해결과 멀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의 복귀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각 대학과 교육부는 복귀자 보호를 위해 등록 현황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달 31일 자로 의대생 복귀 여부 등을 판단할 것”이라며 “제적자 등에 대한 별도 구제책은 마련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