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디지털 백신여권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국가 간 연동이 필수로 꼽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 주도로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들의 국제 논의가 시작됐다. 글로벌 연동을 위해서는 분산ID(DID)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는 데 20개 이상의 주요국들이 모두 동의했으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을 중심으로 DID 표준화 작업에 돌입한다.
ITU-T 산하 정보보호연구반(SG17)은 지난 11일 저녁 8시부터 12일 새벽 1시까지(한국시간 기준) `디지털 예방 접종 증명서`에 대한 온라인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SG17 의장을 맡고 있는 염흥열 순천향대 교수가 제안해 시작된 것으로, 백신여권이 전 세계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워크숍에는 한국을 포함해 유럽,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등 20개 이상의 주요국이 참여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도 함께 코로나19 관련 디지털 백신 증명서에 대해 논의했다.
염 교수는 “국제 웹 표준화 기구인 W3C, IBM이 주관하는 코로나19 관련 얼라이언스 등 여러 표준화 기구들이 많이 참여했다”며 “실질적으로 백신 증명 관련된 국제 기구, 국가들이 모두 참여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설명했다.
|
◇질병청 `쿠브` 앱 소개…해외 전문가 “신속·확장성 돋보여” 호평
워크숍은 △각 국의 백신접종 증명서 활용 사례 및 기술 프레임워크를 소개하는 세션1 △정책 및 거버넌스 측면을 다루는 세션2 △표준화 발전 방향에 대한 패널 토론이 이뤄진 세션3 등으로 진행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우진 질병관리청 시스템관리팀장이 모바일 백신접종 증명 앱 `쿠브`의 운영사례를 소개했고, 박상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블록체인진흥단장은 DID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백신 증명서의 미래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쿠브 앱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해외 전문가들의 호평이 이어졌다는 전언이다. 쿠브 앱은 분산ID(DID)를 적용해 위변조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앱과 연동을 통한 확장이 가능하다. 유럽 이외 지역으로의 확장성에 문제를 보이는 유럽의 공개키(PKI) 기반 방식 보다 낫다고 인정하는 분위기였다고 한다.
염 교수는 “온라인 채팅창에 쿠브 앱에 많은 관심을 표하면서 질병청과 접촉할 방법을 물어보는 글이 올라왔다”며 “패널토론에서는 한국이 신속하게 호환성 높은 서비스를 내놓은 것을 인상깊게 봤다며 이게 하나의 방향성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DID 방식 필요성에 모두 공감…국제 표준화 시급히 마련해야
이번 워크숍에서 최대의 화두는 `국가 간 상호 연동성`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DID 방식의 백신 증명서가 필요하다는 것에 다들 공감했고, DID 방식의 국제 표준화를 시급하게 마련해야 한다는 합의가 이뤄졌다.
염 교수는 “ITU에서 DID 방식의 국제 표준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ITU-T 산하 SG16(멀티미디어), SG17(보안) SG20(IoT) 등 3개 연구반이 DID 방식의 표준화를 위한 공통 작업반을 만들어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WHO는 포용성 측면에서 스마트폰이 활성화되지 못한 저개발국을 위해 시존의 종이 문서나 카드, QR코드 등 PKI에 근거한 방식도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단기와 장기 솔루션으로 나눠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인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이날 다루지 못해 올해 하반기에 추가 워크숍을 열고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염 교수는 “백신여권 관련 논란이 되고 있는 프라이버시 이슈에 대해서도 여러 기술적인 논의가 이뤄졌다”며 “사용자 신원과 연계하는 `아이덴티티 바인딩`이 어느 단계에서 이뤄져야 하는지 등의 의견들이 나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