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대해 임준택 수협중앙회장은 “오염수가 방류되면 원전(사고 당시)보다 더 심각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오염수가 방류되면 수산물 소비가 완전히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안 의원은 “수협이 해양방출과 관련 대사관 항의방문 등 여러 방법으로 전방위적 대응을 하고 있지만 정부의 대책이 상당히 미흡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이어 “방류된 후 구제도 중요하지만 방류되기 전 저지 방안이 더 중요하다”면서 “국제법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윤준병 민주당 의원은 “정부의 자세를 보면 오염수 방출과 관련해 정보공개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거나 국제해양법 협약에 따른 법적 조치 등 적극 노력하는 내용이 부족하다”면서 “이럴 때일수록 수협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데 ‘정부 정책이어서 어민들에게는 한계가 있다’며 소극적 자세로 말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임 회장은 “앞으로 그렇게 하겠다”면서 “일본 대사관에 건의도 하고 각 조합마다 오염수 반대 시위를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 의원은 이어 “6개월 후 오염수가 방류되고 내년 연말에 국내에 들어왔다는 소식이 전해지면 수산업계가 전멸할 것”이라며 “어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어민들이 각자 판단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원택 민주당 의원은 “오염수 문제에 대해 외교적 능력을 통해 해결하려는 건 이미 시간이 지났다”면서 “국제해양재판소에 제소하는 방법 하나가 남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수협 측 건의사항에 이 사항이 빠져있다”면서 “내년 상반기 방출 계획인데 국제해양재판소에 제소해 더 이상 진척이 안 되도록 수협도 대국민 운동을 펼쳐야 우리 어업을 지켜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