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카드업계까지 불만 폭발…금융권 노조, 강력 투쟁 예고

최정훈 기자I 2024.12.19 14:10:04

카드노협, 수수료율 개편방안 투쟁 예고…기업銀 노조, 27일 총파업 진행
금융권 노조 곳곳서 불만 폭발…“탄핵정국 끝나면 불만 목소리 더커질 것”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금융당국이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을 인하하겠다고 밝히면서 카드업계 노조가 투쟁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연말 총파업을 예고한 IBK기업은행을 포함해 금융권 곳곳에서 노조들이 들고 일어나는 모양새다. 내년 대선 정국까지 이어지면 금융권 노조의 투쟁이 더욱 가열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17일 기업은행 노조가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결의대회를 진행하고 있다.(사진=금융노조)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드사노조협의회(카드노협)는 이날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 정문 앞에서 금융위 규탄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카드사 노조의 이번 기자회견은 지난 17일 금융위가 영세·중소 카드가맹점 수수료율을 0.1%포인트 인하하는 것을 골자로 한 카드 수수료 개편방안에 반발하며 마련됐다.

카드노협은 “지속적인 수수료 인하로 카드사의 신용판매 수익률은 0.5% 수준까지 추락했고 수익을 메우기 위해 카드사는 대출사업에 의존하면서 고금리의 리볼빙과 카드론 자산이 급증하고 있다”며 “금융위원회가 수수료 정책을 명목으로 벌이는 카드산업 죽이기를 묵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카드노협은 금융위가 개편방안을 발표하는 과정에서 업계와의 소통이 전혀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카드노협 관계자는 “카드사 경영의 핵심 사안을 개편하는 것인데도, 카드업계와 소통을 전혀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발표한 내용을 인정할 수는 없다”며 “총파업까지 염두에 두고, 이번 금융당국의 행태에 강력한 투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조의 불만이 커지는 건 카드업계에 국한된 일이 아니다. IBK기업은행도 임금차별과 시간외수당 체불 등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총파업 위기에 놓였다. 기업은행 노조는 지난 12일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 행위 관련 찬반 투표를 진행, 이달 말 총파업을 결정했다. 투표자의 95%(6241명)가 찬성했다.

노조는 이익배분제 도입을 통한 특별성과급 지급, 밀린 보상휴가(시간외수당) 현금 지급, 우리사주 금액 증액 등의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으면 이달 27일 총파업을 강행할 예정이다. 기업은행 노조가 단독으로 총파업을 진행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기업은행 노조의 불만이 쌓였다는 뜻이다.

기업은행 노조는 “기업은행이 공공기관이라는 이유로 같은 노동을 제공하는 시중은행 대비 30% 적은 임금을 직원에게 지급하고 있다”며 “정부의 총 인건비 제한을 핑계로 1인당 약 600만원에 이르는 시간외근무 수당도 지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임금 차별과 체불을 해결하고자 사측과 9월부터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진행했지만 끝내 결렬됐다”고 했다.

고위임직원의 비위를 공개적으로 제보받으며 갈등을 키우는 노조도 있다. NH농협금융지주 노조는 최근 ‘내부제보 포상제도 운영’ 안내문을 발표했다. 고위 임직원의 비위 행위를 제보하면 최대 2000만원을 포상금을 지급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노조는 구체적인 비위 행위 예시로 성희롱성 발언, 부당한 업무지시와 인사 개입, 법인카드의 업무 외적 사용, 욕설이나 폭언 등을 제시했다.

과거부터 이어져 온 갈등의 불씨가 여태까지 이어지고 있는 곳도 있다. 한국산업은행도 본점의 부산 이전을 두고 노조의 불만이 여전하다. 노사갈등을 겪고 있다. 본점 이전을 위해서는 ‘산업은행은 본점을 서울특별시에 둔다’고 명시한 현행 산은법을 우선 개정해야 하지만 사측이 법 개정 이전에 조직 개편 등을 통해 실질적인 부산 이전 효과를 내려하면서 갈등이 한층 깊어진 상태다.

BNK경남은행도 갈등의 불씨가 남아 있다. 앞서 지난 7월 경남은행은 지난해 불거진 3000억원대 횡령사고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직원 성과급 일부를 환수하기로 하면서 노조와 갈등을 겪었다. 이후 성과급 환수 결정이 번복되면서 갈등은 일단 소강 국면에 진입했지만 관련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금융권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갈등은 하나 같이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정부와 업계와의 갈등도, 노사 간 갈등도 첨예한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 불황과 탄핵 정국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금융권 노조의 불만이 커지는 상황을 관리하기는 정부도 금융사도 쉽지 않을 것이다”며 “새해 들어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고 혹시 모를 대선 정국으로 이어진다면 노조의 목소리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