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개막한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
''인간의 부조리함'' 다룬 어려운 고전
신구·박근형·박정자 등 무대 올라
연극계 대배우 열연에 동시대와 소통
''원캐스트'' 출연으로 내년 2월까지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자, 가자” “안 돼” “왜?” “고도를 기다려야지” “아, 그렇지”
지난 19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개막한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한 장면. 에스트라공(고고) 역의 배우 신구(87), 블라디미르(디디) 역의 배우 박근형(83)이 천연덕스럽게 주고받는 대화다. 동문서답 같은 이들의 대화는 작품 속에서 여러 번 반복된다. 한 번 들으면 무슨 내용인지 이해할 수 없어 당황스럽고, 두 번 들으면 어처구니가 없어 웃음이 나온다. 그런데 세 번 들으면 마음 한구석이 쓰리다. 이들의 우스꽝스러운 모습이 우리의 인생 같아서다.
|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한 장면. (사진=파크컴퍼니) |
|
아일랜드 출신 극작가 사무엘 베케트(1906~1989)의 대표작 ‘고도를 기다리며’가 연극계 대배우들의 숨결로 2023년 서울에서 새롭게 되살아났다. 신구, 박근형, 그리고 박정자(81)와 중견 배우 김학철(63), 신인 배우 김리안(26)이 함께하는 이번 공연은 어려운 고전도 대배우들과 만나면 동시대와 소통할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실제로 이날 첫 공연에선 객석에서 웃음이 종종 터져 나왔다. 그러면서도 공연이 끝날 때는 인생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관객에 안겼다.
◇어려운 작품 몰입하게 만드는 배우들의 힘
|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한 장면. (사진=파크컴퍼니) |
|
‘고도를 기다리며’는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라는 두 방랑자가 실체를 알 수 없는 인물 ‘고도’(Godot)를 하염없이 기다린다는 내용의 작품이다. 1953년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 공연한 뒤 지금까지 전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해석으로 공연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극단 산울림의 임영웅 연출이 1969년 초연한 뒤 약 1500회 공연하며 22만명의 관객을 모았다. 이번 공연은 공연제작사 파크컴퍼니와 오경택 연출이 새롭게 선보이는 무대다.
‘고도를 기다리며’를 ‘어려운 작품’이라고 일컫는 이유가 있다. 부조리극(不條理演)이기 때문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부조리극은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고독과 소통 부재를 통해 삶의 무질서와 불합리를 보여준다. “이치에 맞지 않는 극”이라는 사전적 의미처럼 부조리극은 상식이나 논리로는 이해하기 힘들다.
이번 공연에서도 이러한 부조리극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바위 하나, 그리고 가지가 앙상한 나무 한 그루만이 놓여 있는 황량한 무대 위에서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대화를 끊임없이 주고받는다. “당근을 달라”는 에스트라공에게 블라디미르는 당근 대신 순무를 주고, “서로 욕지거리나 하자”더니 갑자기 그만하자며 화해한다. 권위적인 인물 포조와 그의 짐꾼 럭키, 그리고 해맑은 표정의 소년 등 다른 등장인물도 이해하기 힘든 말을 쏟아낼 뿐이다.
|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한 장면. (사진=파크컴퍼니) |
|
이토록 어려운 작품을 몰입하게 만드는 것은 온전히 배우들의 힘이다. 특히 신구와 박근형은 연극 무대에서의 첫 만남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끈끈한 호흡을 보여준다. 앞뒤가 맞지 않는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끌어가면서 슬랩스틱에 가까운 몸짓까지 보여주는 두 배우의 ‘티키타카’가 극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박정자는 남자 배우가 주로 연기하는 럭키 역을 직접 자진해서 출연했다. 등장 분량은 짧지만, 10분에 달하는 독백을 완벽하게 소화해 내며 강렬한 존재감을 남긴다. 김학철, 김리안 또한 대선배들과 당당히 연기 호흡을 맞춘다.
◇개막 첫날, 대배우들 열연에 기립박수 쏟아져
배우들은 내년 2월 18일까지 이어지는 공연에서 ‘원 캐스트’로 매회 무대에 오른다. 배우들의 열연에 개막 첫날 기립박수가 터져 나오기도 했다. 공연 관계자는 “첫 공연을 마친 배우들은 추운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객석을 가득 채우고 열렬한 박수를 보낸 관객들로 벅찼고 정말 감사하다고 전했다”며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해 공연에 임할 것을 약속했다”고 말했다.
‘고도를 기다리며’가 발표된 뒤 ‘고도’의 존재에 대해 많은 해석이 나왔다. 그러나 베케트는 “인물들에 대해 아는 것은 모두 대본에 있고, 더 많이 알았더라면 대본에 썼을 것”이라며 자신도 고도가 누군지 모른다고 밝혔다. 분명한 것은 사람은 누구나 무언가를 기다리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 기다림의 끝에 ‘죽음’이 있을지라도 말이다. 이 당연한 삶의 진리는 연기 경력 60년 이상의 대배우들과 만나 설득력을 얻었다.
|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한 장면. (사진=파크컴퍼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