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고 내용으로 분류해보면 쓰러짐 32건, 낙상·골절 17건, 폭행·다툼 17건, 인파 밀집으로 인한 사고 우려 16건 등이 신고됐다. 이 중 구급대가 환자를 병원에 이송한 건수는 33건으로, 전체 신고 건수(96건)의 34.4%에 달한다. 즉, 집회가 과격해졌다는 의미다.
구체적으로는 ‘집회 참가자들 다툼으로 부상’, ‘단식하는 사람이 쓰러짐’, ‘시위도중 둔기로 머리를 맞음’ 등 내용의 신고가 접수됐다.
지난 한달간 119 신고가 가장 많이 접수된 날은 탄핵 찬성, 반대 측이 총집결해 집회를 벌인 삼일절이었다. 이날 광화문 앞 인파 밀집으로 사고가 우려된다는 신고가 15건 접수됐다. 지난달 20일에도 119 신고가 15건 접수됐다.
한편 현재 서울경찰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을호비상이 발령된 상황이다. 을호비상은 두 번째로 높은 비상근무 체제로 발령시 경력 50%까지 동원이 가능하다. 경찰은 선고 당일인 오는 4일 0시부터는 전국에 갑호비상을 발령한다. 가장 높은 단계의 비상근무 체제인 갑호비상이 발령되면 경력 100% 동원이 가능하다.
특히 서울 경찰은 과격한 집회가 벌어질 가능성이 가장 큰 헌재 앞을 주목하고 있다. 박 직무대리는 “헌재 주변을 비롯해 (서울 종로·중구를) 특별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설정했고 헌재를 비롯한 주요시설 안전확보와 재판관 등 주요 인사 신변보호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선고 당일 집회 참여자들의 과격 행동에 대해선 엄벌할 것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는 “경찰은 폭력과 손괴 등 묵과할 수 없는 불법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현장에서 신속 검거하는 등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선고 당일 인파 운집이 예상되는 만큼 인파 관리와 질서 유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선고일 전후 질서 유지를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