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지난해 12월 3일 밤에 저지른 행위는 어떤 변명으로도 합리화될 수 없는 일”이라며 “재판관 전원일치로 탄핵 인용이 결정된 것은 상식적인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탄핵 이후의 정치적 혼란을 최소화하고, 회복의 시간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이 전 총리는 “짧게는 120여 일, 길게는 2년 11개월 동안 국가와 국민을 혼란과 불안에 빠뜨린 대통령이 퇴장한 지금, 정치권이 먼저 나서 갈라진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총리는 탄핵에 대한 승복과 절제를 촉구하며 “탄핵을 반대한 이들은 판결을 수용하고, 찬성했던 이들도 이제는 차분해야 한다”며 “정치적 의견이 다르다고 상대를 배제하거나 증오하자는 선동은 경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다른 생각을 가진 이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함께 내일로 나아가자”고 말했다.
또 “이번 탄핵으로 대한민국은 지난 10년 동안 두 명의 대통령을 파면한 셈”이라며 “이 같은 역사적 불행을 통해 교훈을 얻고, 미래를 재설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난폭한 거대 양당과 불안정한 지도자들이 불러온 증오의 정치를 청산하고, 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더욱 굳건히 하는 새로운 민주공화국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총리는 개헌과 정치 제도 개혁도 함께 제안했다. 그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분권형으로 전환하고, 관련 법 정비를 통해 죽기 살기식 양당제를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다당제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곧 있을 조기대선에 대한 바람도 밝혔다. 이 전 총리는 “조기 대선 역시 국민을 갈라치는 과정이 아니라, 통합과 회복의 시간이 되어야 한다”며 “거듭 강조하지만, 국민은 살아야 하고, 대한민국은 발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