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의 여진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유영하 의원은 전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생각이 달라도 공존할 수 있지만, 선을 넘은 것은 붙여봐야 또 떨어진다”라며, “두 번의 탄핵 모두 우리 내부에서 저들의 손을 들어준 자들 때문이라는 걸 알면서도 닥치고 단결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건 그들의 생각이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탄찬파 의원들도 즉각 반발했다. 조경태 의원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헌법 수호 의지가 없었던 대통령에 대한 비판은 한 마디도 안 하는 건 아쉬운 부분”이라며, “탄핵된 대통령과의 절연하지 않으면 필패”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도부 책임론도 계속되고 있다. 윤상현 의원은 이날 SNS에서 “당원이 느끼는 감정은 상실을 넘어 좌절과 분노로 가득 차 있다”며,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아무 일 없다는 식으로 갈 수는 없다”고 지도부 사퇴 입장을 고수했다. 강민국 의원 역시 전날 “대통령 탄핵은 당의 사형선고인데도, 반성과 변화 없이 의원총회가 끝났다”며, “앞으로는 유구무언”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그러나 권영세 위원장은 지도부 책임론에도 불구하고 파면 직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재신임을 받았다. 조기 대선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복수의 참석자들에 따르면, 의총 현장에서는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한 의원들이 소수에 그쳤다는 전언이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일련의 움직임이 ‘광장 정치’에 앞장섰던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권 경쟁이 본격화된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른바 ‘아스팔트 보수’로 불리는 일부 중진 의원들은 전당대회 출마를 염두에 두고 발언 수위를 높이고 있으며, 지도부 교체가 전제되어야만 당권 도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들의 주장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역시 당 지도부에 또 다른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점이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대선 전까지 당내 갈등 확산을 피하기 위해 징계 절차를 중단하기로 했다. 탄찬파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모두에 대한 징계 요구도 잠정 유보된 상태다. 당 중앙윤리위원회 관계자는 “오는 6월 3일까지 윤리위 차원의 징계 논의는 없을 예정”이라며, “대선까지 갈등의 소지가 될 수 있는 사안은 줄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