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국극 원로 배우들, 내달 3일 특별공연
명맥만 이어온 여성국극, 드라마로 다시 인기
후배 소리꾼들과 여성국극 매력 무대서 재조명
"전통 이어가기 위해 국가무형유산 지정해야"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드라마 ‘정년이’가 여성국극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다시 환기시키고 있다. 여성국극은 여성 소리꾼들이 등장해 소리와 춤, 연기를 종합적으로 구성한 극이다. 한국전쟁 이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나 지금은 대중과 멀어진 채 그 명맥만 이어지고 있다. 드라마가 과거의 유산으로 잊힌 여성국극을 지금 시대도 공감할 수 있는 공연예술로 재조명 중이다.
| 여성국극 특별 공연 ‘한국 최초 여성 오페라, 전설이 된 그녀들’ 기자간담회가 지난 14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여성국극 배우 최유미, 남덕봉, 이옥천, 홍성덕, 이미자. (사진=국가유산진흥원) |
|
드라마로만 접할 수 있는 여성국극이 직접 무대에 올라 관객과 만난다. 국가유산진흥원이 오는 12월 3일 서울 강남구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에서 개최하는 여성국극 특별공연 ‘한국 최초 여성 오페라, 전설(傳說)이 된 그녀들’이다. 여성국극의 명맥을 이어온 원로 배우들과 신진 배우들이 함께하는 무대로 드라마 속 여성국극단의 원형을 재조명하고자 기획됐다.
이번 공연에 참여하는 원로 배우들을 14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만났다. 이들은 ‘정년이’가 불 지핀 여성국극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에 상기된 반응이었다. 1950년 여성국극에 입단해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는 홍성덕(80) 한국여성국극예술협회 이사장은 “‘정년이’를 통해 여성국극이 활발하게 인기를 얻게 돼 드라마에 감사한 마음이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 여성국극 특별 공연 ‘한국 최초 여성 오페라, 전설이 된 그녀들’ 기자간담회가 지난 14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여성국극 배우 홍성덕, 이옥천, 이미자. (사진=국가유산진흥원) |
|
‘여성국극’은 1948년 명창 박록주가 ‘여성국악동호회’를 설립해 활동한 것이 그 시초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전쟁 전후로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1948년부터 1969년까지 화랑여성국극단, 삼성여성국극단 등 25개의 여성국극단이 활동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영화와 텔레비전이 등장하면서 인기가 급속히 식었고 현재는 그 명맥만 간신히 유지되고 있다.
이번 공연에 출연하는 이들은 50년대를 넘어 60년대 초반 여성국극에 뛰어든 ‘2세대’ 명인들이다. 여성 주인공 역을 주로 맡았던 홍성덕, 남성 역할을 맡았던 이옥천(78), 악역을 주로 연기한 이미자(79), 감초 역할을 주로 연기해 ‘삼마이’로 불렸던 남덕봉(79) 등이다. 이들은 여성국극 1세대이자 당시 아이돌 급 인기를 누렸던 임춘앵(1923~1975)에 반해 여성국극에 입문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원로 배우들이 꼽은 여성국극의 매력은 외모·소리·춤·연기 등 네 가지 요소를 고루 갖춘 이들만이 작품에 출연할 수 있다는 점이다. 홍성덕은 “여성국극이 인기를 끌었던 것은 무엇보다 여성이 남성 역할을 한다는 것”이라며 “외모·소리·춤·연기 등을 고루 갖춘 이들만 출연하기에 여성국극을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여성국극 특별 공연 ‘한국 최초 여성 오페라, 전설이 된 그녀들’ 포스터. (사진=국가유산진흥원) |
|
다음달 3일 열리는 공연은 1부 ‘대담’과 2부 여성국극 공연 ‘선화공주’로 구성된다. 원로 배우들은 1부 ‘대담’에 출연해 드라마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여성국극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2부 ‘선화공주’ 무대에서는 후배 소리꾼들이 출연해 여성국극의 전통이 계속 이어가는 무대를 선보인다. 국립창극단 악장인 김금미를 비롯해 박지현 등이 출연하며 이미자, 남덕봉은 석품 역, 길치 역으로 후배들과 함께 무대를 빛낸다.
여성국극과 같은 공연예술이 한국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의 유에주(越劇, 월극)는 20세기 초 본격적으로 발전한 공연예술로 2009년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일본의 다카라즈카는 공연장과 학교 등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춰 지금도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반면 한국의 여성국극은 국가무형유산으로 인정받지 못하면서 체계적인 지원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여성국극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하기 위한 논의도 있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체계가 잡힌 현대적인 예술이라는 이유로 무산됐다.
여성국극의 대한 대중적 관심이 다시 불붙은 지금 원로 배우들은 정부의 지원을 통한 여성국극의 명맥 유지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홍성덕은 “마음 고생을 하면서도 여성국극을 이어가기 위해 힘을 들여 버텨왔다”며 “여성국극의 국가무형유산 등재도 다시 도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 여성국극 특별 공연 ‘한국 최초 여성 오페라, 전설이 된 그녀들’ 기자간담회가 지난 14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여성국극 배우 최유미, 남덕봉, 이옥천. (사진=국가유산진흥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