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종별로는건설업이 65명(63건)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이 31명(30건), 기타업종이 32명(31건)이었다. 특히 제조업 사고사망자는 전년동기대비 20명(39.2%)이나 줄었다. 고용부는 대형사고의 감소와 경기 불황의 영향으로 봤다. 올 1분기 제조업의 평균 가동률은 전년동기대비 10.3% 감소했고, 생산지수는 9.9% 줄었다.
하지만 경기 불황을 겪고 있는 건설업에선 재해가 크게 줄지 않았다. 건설업 사고사망자는 전년 동기 대비 6명 감소했지만, 사고 건수는 오히려 1건 늘었다. 특히 공사금액 120억~ 800억원 구간의 현장에서 사고사망자가 전년동기대비 10명이나 늘었다.
|
산재 사고사망자 감소가 작년 1월 27일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정착하고 있다는 반증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중대재해법은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사업장에서 근로자 사망 등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경영책임자를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실제로 올 1분기 50인(억원) 미만 사업장에서 사고사망자는 79명으로 전년 동기와 같았지만, 법 적용 대상인 50인(억원) 이상 사업장의 사고사망자는 49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9명 줄었다. 또 사망사고가 많이 주로 발생하던 ‘떨어짐’, ‘부딪힘’ 사고가 각각 21.7%(13명), 36%(9명) 줄었다.
다만 고용부는 1분기는 법과 제도로 인한 중대재해 감축 효과를 판단하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최 국장은 “1분기는 통계의 모수가 적어 정책적 효과를 단정하기는 조심스럽다”며 “지난해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발표 이후 위험성 평가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늘고, 안전문화실천추진단 활동 등의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