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는 8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지도부에 “이 시간 이후 강제 후보단일화라는 미명으로 정당한 대통령 후보인 저 김문수를 끌어내리려는 작업에서 손 떼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와 함께 “단일화는 시너지가 있어야 한다. 시너지와 검증을 위해 일주일간 후보들은 선거운동을 하자”며 “다음 주 수요일에 방송토론, 목요일과 금요일에 여론조사를 해서 단일화하자”고 한 후보 측에 제안했다. 11일 전 단일화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이다.
이날 기자회견은 전날 국민의힘 지도부가 김 후보와 한 후보 간 단일화를 사실상 강제하기로 결정하면서 열렸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8일 두 후보 간 토론으로 진행하고, 8~9일 후보 동의 여부와 상관없이 후보 단일화를 위한 선호도 여론조사를 하기로 결정했다.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까지 단일화 절차를 끝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만에 하나 11일을 넘겨 한 후보가 단일 후보가 된다면 무소속으로 뛰어야 하기 때문에 자금 등 국민의힘 지원을 받을 수 없다는 게 국민의힘 지도부 논리다. 한 후보는 11일까지 단일화가 안 된다면 아예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김 후보가 단일화 계획을 거절하면서 지도부도 맞대응에 나섰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당원들의 명령을 무시한 채 그 알량한 대통령 후보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 오늘 아침 기자회견하는 모습을 보면서 저분이 지금까지 우리가 생각해 왔던 민주화 투사인지 세 번의 국회의원과 두 번의 경기지사, 그리고 노동부 장관을 역임한 우리 당의 중견 정치인인지 의심이 들었다”며 “정말 한심한 모습이었다”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김 후보에게 후보 단일화를 요구하며 전날부터 단식에 들어갔다.
양측 갈등이 법적 갈등으로 번질 우려도 있다. 김 후보는 “지금 진행되는 강제단일화는 강제적 후보교체이자 저 김문수를 끌어내리려는 작업이기 때문에 법적인 분쟁으로 갈 수 있다. 즉시 중단하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힘 당헌상 당무우선권(대선후보가 당무 전반에 관한 우선적 권한을 갖는다는 규정)도 언급했다. 이에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그것(당무우선권)이 모든 것에 절대적으로 당 결정을 무력화할 결정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미 김 후보 측은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일화에 따른 대통령선거 ‘최종 후보자’ 지명을 위해 11일 소집한 전국위원회를 막기 위해 가처분을 신청한 상태다. 가처분 인용 여부에 따라 대선판은 또 한 번 출렁일 수 있다. 신 대변인은 “정당의 정치적 결정에 대해서 법원이 개입할 것이라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당에서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은 이런 부분들이 국민들에게 내부 다툼으로 보이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