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장관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진행된 ‘12.29 여객기 참사 관련 현안보고’에 출석해 “비행기가 많이 날아다니면 조류와 상관없이 인력을 많이 투입하고 비행 수가 적으면 조류가 많아도 인력을 적게 투입한 점이 없지 않다”고 밝혔다. 인력과 예산, 첨단장비 투입이 조류 활동보다 비행 편수에 따라 이뤄졌다는 얘기다.
|
특히 무안공항의 조류 퇴치 인력은 전국 공항 중 최저 수준이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조류 퇴치 전담 인원은 4명으로 평일과 주간엔 2명이 근무하고 야간, 휴일엔 1명씩 근무하는 체제다. 김포공항이 23명, 제주공항이 20명, 김해공항이 16명인 것에 비해 무안공항의 조류 퇴치 인력은 극히 적은 편이다.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사고 여객기 엔진 한 쪽에서 조류 깃털을 수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여객기 사고의 원인으로 조류 충돌이 지적되고 있다.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회의에서 무안공항과 관련 “인근에 1만 2000마리 겨울 철새가 관측되는 점, 2001년부터 국내 최초 연안습지보호구역 등이 지정되는 등 공항 주변 9km 내 보호구역이 9개나 있는 점 등이 조류 충돌 위험이 특히 높았다”고 지적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공항 반경 13km 내 조류보호구역이나 사냥금지구역을 설정하지 않도록 하고 있고 국토부도 8km이내 보호구역 금지를 명문화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같은 당 김희정 의원도 조류의 먹잇감들이 공항 주변에 있다고 짚었다. 김 의원은 “공항 안쪽으로 잡목과 배수로까지 형성돼 풀씨, 지렁이, 곤충 등 조류 먹이가 활주로 주변에 잘 깔려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이 조류 충돌 방지에 적극적으로 예방하지 않은 점도 지적됐다. 제주항공은 작년 두 차례 열린 무안공항 조류충돌예방위원회에 제주항공 측이 불참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 장관은 이와 관련 “(솔직히 고백을 하자면 업계에서) 참석을 잘 안 하는 이유를 추측해보면 ‘회의 결과를 집행부에서 이행을 안 하더라’해서 안 했을 수도 있다”며 “조류충돌위원회에서 논의된 결과는 반드시 이행하도록, 무게 있는 결론을 내리는 위원회가 되도록 저희부터 반성해서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는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며 “유가족께 배상 문제를 최대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8개 지방 신공항 건설과 관련 여전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각 지역 거점을 형성하는 데 공항 시설이 필수적”이라며 “문제는 지역 공항은 비행기가 적게 떠서 투자가 적어 안전시설이 미비한 것이지, 지방에 있는 게 문제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무안공항 참사를 키운 방위각 시설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둔덕에 대해 문제가 있음을 인정했다. 박 장관은 “솔직히 말해 제가 생각해도 세이프티존(종단안전구역) 부근에 그런 시설이 있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토부가 전국 공항 항행안전시설 특별안전점검 결과 무안공항을 포함한 7곳의 공항, 9개 방위각 시설이 콘크리트 위에 설치됐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연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에 대해 “연내까지 갈 문제가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하자 박 장관은 “표현을 정정하겠다. 즉기 교체 보수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