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조기 대선?…‘대통령실 세종 완전 이전’ 논의 불 붙었다

박진환 기자I 2025.01.15 14:10:10

차기 대통령 집무실 관련 용산VS청와대 복귀 등 의견 팽팽
대통령 제2집무실 및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등 세종서 추진
지역 정치권 “대통령실 및 국회 완전 이전… 행정수도 완성”
시민단체 “용산과 청와대는 고비용·저효율에 보안·경호문제”

[세종=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탄핵 정국을 맞아 조기 대통령 선거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완전 이전하자는 여론이 충청권에서 일고 있다. 15일 윤석열 대통령이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 신분으로 체포된 가운데 대통령 집무실 위치를 놓고 기존 용산이나 청와대 모두 사용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회 세종의사당 등 국가중추시설이 들어설 예정인 세종시 세종동 전경.(사진=세종시 제공)
국회,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세종시,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용산 대통령 집무실 및 관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하자 정치권 차원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대한 논의가 조금스럽게 시작되고 있다. 여·야 정파적 이해관계를 떠나 현 용산 집무실을 유지하자는 입장보다는 기존의 청와대를 리모델링한 후 다시 들어가자는 의견이 다소 우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일각에서는 세종시를 사실상의 행정수도로 만들고,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적 의미로 ‘대통령실의 세종 완전 이전’ 목소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미 세종에는 대통령 제2집무실 및 국회 세종의사당이 건립 중인 상황으로 이 부지를 활용해 대통령 집무실로 확장하면 청와대나 용산 집무실의 단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균형발전이라는 대의 명분도 챙길 수 있다는 것이 이 주장의 근거이다.

이에 따라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건설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은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등 국가중추시설이 들어설 세종시 세종동 일원으로 210만㎡ 규모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국가상징구역에 대한 통합설계 국제공모 과정을 거쳐 세종집무실은 2027년, 국회 세종의사당은 2031년경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국가상징구역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관련 법안 논의도 시작됐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강준현 의원(세종을)은 ‘국가상징구역 특별법’ 추진을 공식화했다. 강 의원은 “대통령 집무실도 제2집무실 수준이 아니라 청와대 수준으로 건설해야 한다”며 “대통령 집무실이든 국회든 완전 이전을 전제로 건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가상징구역은 미국의 워싱턴DC 내셔널몰과 같은 세계적 명소로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강 의원은 “워싱턴DC 내셔널몰은 1790년대 계획 수립 이후 2003년까지 200여년에 걸쳐 조성돼 미국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세종의 국가상징구역 역시 전 세계 이목을 끌 수 있는 명소로 태어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무소속인 김종민 의원(세종갑)도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 세종의사당과 국민주권의 공간적 전개’ 토론회에서 “세종에서 민주적 대통령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새 대통령 집무실은 세종으로 오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조기 대선 가능성 있다”고 전제한 뒤 “다음 대통령은 전국 2시간 거리인 세종 집무실에서 국정운영을 시작하자”며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 전체 이전을 통한 행정수도 완성을 촉구했다.

세종시도 행정수도 완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세종시 한 관계자는 “현재 국회 세종의사당은 2031년, 대통령 제2집무실은 2027년 건립을 목표로 추진 중”이라며 “대통령실 및 국회의 완전 이전 등 규모를 키운다고 해도 시기가 다소 늦어질 뿐 전혀 부담될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지역 시민단체인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행정수도완성 시민연대도 정치권을 향해 “대통령 집무실 세종시대를 열어 가자”고 제안했다. 이들은 “차기 대통령이 고비용 저효율 구조에 무속 신앙 의혹까지 낳고 있는 흉흉한 용산 대통령 집무실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개방된 광화문이나 청와대는 보안·경호 문제가 대두될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실의 세종 완전 이전이 현재로서는 가장 행정·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