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의심을 부른다, 저 탱탱한 꽃이 [e갤러리]

오현주 기자I 2025.02.28 14:37:32

△박종필 ''프레시-엠 no.37''(2024)
''꽃'' 도구로 ''진짜-가짜'' 사이 살펴
생화 사이 조화 심고 "본질 보라"고
밀도 높은 극사실주의 기법 묘사로
사람사는 세상 다를 게 없단 비유도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이쯤 되면 나비부터 의심해야 한다. 진짜인지 가짜인지, 현실인지 환상인지. 노송을 그려둔 벽에 새들이 날아와 부딪쳤다는 솔거(신라시대 화가)의 소나무 그림이 남의 일 같지 않단 얘기다. 당장 손끝을 부르는 저 꽃그림이 살아있는 나비를 불렀을지도 모르는 일 아닌가.

박종필 ‘프레시-엠 no.37’(2024 사진=박여숙화랑)
의심을 부르는 그림. 작가 박종필(48)의 작업이 바로 그거다. 작품마다 빠짐없이 화면을 채우는 ‘꽃’은 사실 그저 도구일 뿐. 꽃으로 채우는 미적 성취감이 작가 작업의 핵심은 아니란 얘기다. 탱탱한 생화 사이에 더 탱탱한 조화를 박아두곤 말이다. “함부로 판단하지 말고 본질을 보라”고 우아하게 이르고 있으니까. 생화와 조화를 식별해내는 기준이 아니라 영원히 시들지 않는 꽃이 진짜일 리가 없다는 철학을 심어둔 거다.

게다가 이젠 여기에 한 가지를 더 얹는다. 꽃 사는 일이 사람 사는 일과 다를 게 없다는 성찰 말이다. 인간세상에도 진짜와 가짜는 섞여 있기 마련이라는. 구분할 수 없을 만큼 조화롭게 뒤섞여 살지만, 때론 그런 풍경이 더 친밀하다는 의미를 녹여서 말이다.

종종 극사실주의 기법의 잣대가 되기도 하는 ‘얼마나 진짜처럼 보이나’는 이미 넘어선 지 오래다. 진짜와 가짜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나아가 산 것과 죽은 것의 구획을 횡단한다. 신이 그어둔 금을 자유롭게 오가는 경지라고 할까. 달랑 붓 하나 들고선 말이다. ‘프레시-엠(Fresh-m) no.37’(2024)은 그 절정을 향하고 있는 작품 중 하나다. 색이면 색, 기량이면 기량, 갈수록 밀도가 짙어진다.

3월 13일까지 서울 용산구 소월로 38길 박여숙화랑서 여는 개인전 ‘비트윈, 프레시-엠’(Between, the Fresh-m)에서 볼 수 있다. 캔버스에 오일. 163×262㎝. 박여숙화랑 제공.

박종필 ‘프레시-엠(Fresh-m) no.43’(2024), 캔버스에 오일, 80.3×100㎝(사진=박여숙화랑)
박종필 ‘프레시-엠(Fresh-m) no.27’(2023), 캔버스에 오일, 163×262㎝(사진=박여숙화랑)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