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윤 산업연구원 산업환경실장은 한국산업연합포럼이 13일 온라인상에서 개최한 제35회 산업발전포럼에서 “(탄소 다배출 업종인) 철강·석유화학 제품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걸 고려하면 산업계의 탄소감축 부담은 2030 NDC에 명시된 11.4%가 아닌 19.3%”라며 “산업 부문의 탄소감축 목표를 낮춘 건 긍정적이지만 부담은 여전히 크다”라고 밝혔다.
정부의 2030년 산업 부문 탄소감축 목표는 2018년 배출량 대비 11.4% 낮추는 것이지만, 철강·석유화학 탄소배출 제품 수요가 그때까지 9.8% 늘어날 전망(BAU, Business As Usual)이라는 걸 고려하면, 기업의 실질적인 감축 목표치는 19.3%라는 것이다.
대통령 직속 기관인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는 지난 2021년 2018년 7억2760만t이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40% 줄어든 4억3660만t까지 줄인다는 2030 NDC 상향안을 확정했다. 지구온난화 등 기후위기에 대응해 2050년 전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자는 2015년 파리협정에 대응한 것이다.
탄녹위는 당시 부문별 목표치를 정하는 과정에서 산업 부문에선 2억6050만t에서 2억2260만t으로 14.5% 줄이기로 했는데, 지난달 현실성을 이유로 이를 11.4% 낮춘 2억3070만t로 조정했다. 앞선 목표가 비현실적이라며 우려를 제기해 온 산업계의 의견을 일부 반영한 것이다.
산업계는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은 당장 대체재가 없는 우리 산업과 생활의 필수재이지만, 원료와 공정 특성상 당장의 탄소 저감이 어렵다는 이유에서 줄곧 우려를 표해 왔다.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 저감을 위한 신기술은 아직 개발 중이어서 2030년 목표를 맞추기는 어렵다. 산업계는 이 목표 달성을 위해선 생산량을 줄일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전 지구적 탄소감축에 도움을 주지 못한 채 중국 등 경쟁국 기업만 키워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
◇“가장 비용 효과적 탄소감축 수단은 해외감축과 CCUS”
정광하 산업연합포럼 부설 미래산업연구소장도 탄소배출권 거래제 참여 부담을 근거로 산업계가 수치상의 목표치 이상의 탄소감축 부담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탄소감축을 위해 배출권 거래시장을 열어 기업 등 탄소배출 주체에 탄소 배출량을 줄이거나 배출량 만큼의 배출권을 사도록 의무화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의 비용 부담 대부분을 산업계가 끌어안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5억9100만t인데 이 중 73.5%인 3억2640만t이 산업 부문이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하면 2030 NDC 상 산업 부문의 2030년까지의 탄소감축 목표는 3000만t이지만 실질적으론 4000만t으로 더 많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 소장은 “가장 비용 효과적인 탄소감축 수단은 해외감축과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라며 “해외감축의 경우 일본 등과 비교해 목표치도 낮고 이를 위한 양자협정도 뒤처진 만큼 정부의 좀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김은하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이사는 정부의 탄소감축 목표 중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작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RE100 캠페인이 확산하고 있는데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여전히 낮은 상황”이라며 “암참은 (미국 기업에) 한국을 지역 내 비즈니스 중심지로 제안하려는 중인데 이를 위해선 재생에너지 발전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만기 산업연합포럼 회장은 “탄녹위가 산업부문 탄소감축 목표를 줄였으나 크게 줄인 건 아닌데다 간접배출을 포함하면 오히려 부담은 더 늘었다”며 “정부가 기후대응기금 등 예산을 탄소감축 혁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관련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경쟁국 수준으로 늘리는 등 더 공격적인 정책을 펼쳐야 탄소 감축과 함께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