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일 열린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개발기간 10년, 총사업비 5303억 4000만원 규모의 달 착륙선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통과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 예타 신청 이후 1년 만입니다.
|
달로 가는데 가장 큰 관건은 바로 운송 수단입니다. 국산 로켓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지만, 탑재중량(1.5t)과 목표 궤도(700km)를 고려하면 현재로선 달까지 가기 어렵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위해 지난 7월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들을 중심으로 발사체 개념 설계, 엔진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누리호 반복 발사를 민간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관하는 것처럼 차세대발사체 체계종합기업도 연내 선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차세대발사체 개발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된다면 오는 2030년에 차세대발사체 시험발사를 한 뒤, 2031년에 달착륙 검증선을 발사해 달 착륙을 시도할 계획입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오는 2032년으로 달착륙선이 달 표면에 착륙해 탐사 임무를 하는 것입니다. 누리호가 2018년에 시험 발사를 한 후 실제 위성을 보낸 것처럼 설계, 제작, 시험, 실증 과정을 거치게 되는 셈입니다. 누리호와 마찬가지로 국내 기업, 대학, 연구기관도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됩니다.
박창수 항우연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단장은 “달 착륙선의 탑재 중량인 1.8t에 맞춰 차세대 발사체 개념 설계를 하고 있다”며 “착륙선 예타가 통과된 만큼 탑재체에서 요구하는 중량, 성능에 맞추고, 발사체 상세 규격 등을 정해 우리 힘으로 달 착륙을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무엇보다 달 착륙선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우리나라는 발사부터 이동, 표면 착륙, 탐사까지 자체 우주 기술을 국내외에 입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달 착륙선을 개발해 우리나라 우주탐사 영역을 확장하고, 미래 우주시장에 참여하는 기반을 쌓도록 국민들의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