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힘 "SKT 해킹 사태는 국가 대한 침략…최태원 청문회 추진"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한영 기자I 2025.06.19 16:27:22

19일 SK텔레콤 TF 회의 브리핑
"대통령 산하 사이버테러 국가대응위 설치"

[이데일리 김한영 기자] 국민의힘은 19일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해 최태원 회장을 상대로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발 방지를 위해 대통령 산하에 대통령 산하 사이버테러 범국가 대응위원회 설치도 제안했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SK텔레콤 소비자권익 및 개인정보보호 TF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뉴시스)
국민의힘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SK텔레콤 소비자권익 및 개인정보보호 TF 회의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이번 해킹 사태를 두고 “중국 해커집단이 중동과 아시아 통신망을 공격할 때 사용한 수법”이라며 “그렇게 볼 때 이번 사태는 사이버범죄를 넘어 침략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이어 “무엇보다 정보 보호 체계를 전면 재설계하는 게 시급하다”며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가가 더이상 뒤에서 지켜만 보지 않도록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 정무위원회 야당 간사인 강민국 의원은 이번 사태 대응을 위해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상대로 청문회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SK텔레콤은 SK 그룹 전체 매출의 9%를 차지하는 핵심 계열사”라며 “사장이 아니라 회장이 직접 국민께 소명을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번 해킹 사고는 단순한 개인 정보 유출을 넘어서 국가 통신망의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난 중대한 사건”이라며 “최종 조사 결과 발표 전까지 민감한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거두기는 어려운 상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정부와 관계 기관은 끝까지 철저하고 투명하게 조사해달라”며 “SKT도 책임 갖고 조사에 임해야 한다. 법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정무위원회와 국민의힘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당부했다.

TF 위원장인 김희정 의원은 회의가 끝난 후 브리핑에서 국가 차원의 사이버 테러 대비를 위한 대통령 직속 기구 설치를 제안했다.

그는 “911테러 이후에도 미국은 국가정보국을 설치했다”며 “대통령 산하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개인정보보호위원회·국정원·국방부 등을 포함하는 대통령 산하 사이버테러 범국가 대응위원회 설치를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이들은 이날 회의에서 국가대응위 설치 외 △정보보호 인증 기준 개선 △SKT 등 통신사 이용자에 대한 합리적 보상안 마련 등을 요구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SKT 유심 해킹

- SKT, 해킹 사태에 3개월간 83만명 이탈...“신뢰 회복의 시간” - "인증받은 SKT도 뚫렸다"…한계 드러낸 ISMS - SKT, 위약금 면제 후 2.8만명 순감…'갤 플립7' 출시 후 반전할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